제1회 대전국한문실력경시대회시험문제 [고등부 A형] 수험번호: 성명: 감독확인: 점수: |
1. 需給 ( ) 2. 雪糖 ( ) 3. 龜船 ( ) 4. 添削 ( ) 5. 佐飯 ( ) 6. 衰服 ( )
● 쟁반에는 홍차를 담은 옥배가 있다. 7. ( ) 8. ( ) ● 늦은 밤에 먹는 것은 위에 부담을 준다. 9. ( ) ● 실력이 비슷하여 우열을 가리기가 어렵다. 10. ( ) ● 상대방을 우롱하는 것은 옳지 못하다. 11. ( ) ● 임금님의 얼굴을 용안이라 한다. 12. ( )
13. □量, □面, □定 ( ) 14. □求, □急, □成 ( ) 15. □魚, □拙, 幼□園 ( )
● 海岸地帶의 침수 피해가 豫想된다. 16. ( ) 17. ( ) ● 時代錯誤的인 생각을 버리고 좀더 積極的인 자세를 견지하여야 한다. 18. ( ) 19. ( ) ● 그의 신념은 確固不動했다. 20. ( )
① 雜念 - 客慮 ② 丈人 - 聘父 ③ 縮小 - 擴張 ④ 吐說 - 說吐 22. 뜻이 서로 반대되지 않는 것은? ( ) ① 落照 - 夕陽 ② 單細胞 - 多細胞 ③ 卑屬 - 尊屬 ④ 農閑期 - 農繁期 23. 부수와 총획의 관계가 틀린 것은? ( ) ① 劃 ( 刂, 총14획) ② 禍 ( 示, 총14획) ③ 畢 ( 田, 총10획) ④ 兎 ( 儿, 총 8획) 24. 앞글자가 길게 소리나지 않은 것은?( ) ① 簡紙 ② 簡潔 ③ 迷路 ④ 亞流 25. 다음 중 부수가 다른 하나는? ( ) ① 咸 ② 周 ③ 培 ④ 吏 26. 한자어의 독음이 바르지 못한 것은?( ) ① 距離感 (거리감) ② 休憩室 (휴계실) ③ 假契約 (가계약) ④ 熱帶林 (열대림) 27. 한자가 바르게 쓰여지지 않은 것은?( ) ① 一葉片舟 ② 黙黙不答 ③ 矯角殺牛 ④ 東奮西走 28. 다음 문장에서 ꡐ之ꡑ자의 쓰임이 동사인 것은? ( ) ① 孟子之平陸. ② 不患人之不己知. ③ 苟非吾之所有, 雖一毫而莫取. ④ 愛人者, 人恒愛之, 敬人者, 人恒敬之. 29. 뜻이 서로 통하지 않는 하나는? ( ) ① 杞憂 ② 半信半疑 ③ 守株待兎 ④ 杯中蛇影 30. 다음 ‘更’의 의미가 다른 하나는? ( ) ① 更新 ② 更張 ③ 更生 ④ 更進 |
31. 다음 □에 공통으로 들어갈 한자를 쓰시오. * 貧若勤□. 可以立身. * 玉不琢不成器, 人不□不知道. ( ) ① 學 ② 修 ③ 智 ④ 誠
32. 韓文公曰 人不通古今 馬牛而襟裾. ( ) 33. 萬事分已定 浮生空自忙. ( ) 34. 莊子曰 一日不念善 諸惡 皆自起. ( ) 35. 蔡伯喈曰 喜怒 在心 言出於口 不可不愼. ( ) 36. 玄帝垂訓曰 人間私語 天聽若雷 暗室欺心 神目如電.( )
37. 巷說 ( ) 38. 營倉 ( )
39.
지난날, 부모의 거상 중에 그 무덤 옆에 막을 짓고 40. 어떤 상태가 급격한 진보나 발전단계로 접어듦.( ) 41. 연극의 상연을 목적으로 결성된 단체.
42. 準 : ( , ) 43. 率 : ( , )
44.
孝順은 還生孝順子요 忤逆은
還生忤逆兒하나니
45.
子曰 不觀高崖면 何以知顚墜之患이며 不臨深淵이면
46.
도둑이 매를 든다는 뜻으로, 잘못한 사람이 도리어 47.
권세가 있을 때에는 아첨하여 좇고, 세력이 없어지고 48. 세상을 다스리고 백성을 구제함.( )
49. 먼 친척이 가까운 이웃만 못하다. ( ) 50. 하늘에 죄를 얻으면 빌 곳이 없다. ( ) ※ 수고하셨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