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회 대전국한문실력경시대회시험문제

[초등3-4학년부 A형] 수험번호:               성명:             감독확인:          점수:

※ 다음 한자어의 독음을 쓰시오. 

1. 協商 (          )      2. 效果 (           )

3. 德業 (          )      4. 積善 (           )

5. 寒冷 (          )      6. 視聽 (           )

※ 다음 밑줄 친 부분에 맞는 한자를 답란에 순서대로 쓰시오.

● 선의의 경쟁은 사회를 발전시킨다. 

7.  (             )      8.  (             )


효도는 우리 문화의 아름다운 미덕이다.

9.  (             )      10. (             )


전통문화를 잘 지키는 것이 세계화의 길이다.

11. (             )       12. (             )


● 더불어 살려는 공동체정신이 요구된다.

13. (            )


※ 다음 한자의 훈음을 쓰시오.

14. 打 (            )    15. 操 (             )

16. 個 (            )    17. 板 (             )

※ 다음 밑줄 친 부분에 맞는 한자의 독음을 답란에 순서대로 쓰시오.

● 여행은 見聞眼目을 넓힐 수 있다.

18. (             )    19. (              )


夏季放學에는 奉仕活動을 많이 했다.

20. (             )    21. (              )

農藥을 치지 않은 無公害 作物이다.

22. (             )    23. (              )


※ 다음 중 물음에 맞는 답을 골라 그 번호를 답란에 쓰시오.

24. 다음 반대되는 뜻의 한자 결합이 아닌 것은?                                       (       )

  ① 規則    ② 明暗    ③ 將卒    ④ 氷炭


25. 경상북도 울릉군에 속하는 섬은?   (       )

  ① 讀島    ② 篤島    ③ 毒島    ④ 獨島


26. 다음 비슷한 뜻의 한자 결합이 아닌 것은?

                                     (       )

  ① 報告    ② 新舊    ③ 意志    ④ 順序


27. 다음 한자와 부수의 연결이 바른 것은?

                                     (       )

  ① 善-口   ② 低-氏   ③ 料-米   ④ 義-戈


28. 다음 중 부수가 다른 한자는?      (       )

  ① 坐      ② 報      ③ 勢      ④ 基


29. 한자어의 독음이 바르지 못한 것은?(       )

  ① 令監 (영감)         ② 旅費 (려비)

  ③ 念願 (염원)         ④ 律動 (율동)


30. 한자어를 바르게 쓰지 않은 것은? (       )

  ① 兵家常事           ② 仙風道骨

  ③ 竹馬故友           ④ 自極自足

31. 부모님께 행하는 실천적인 효의 방법으로 ‘晨必省候ꡑ와 짝이 되는 구절은? …………(       )

① 每必起立          ② 勿逆勿怠

③ 昏必定褥          ④ 喜而勿忘


32. ‘九思ꡑ에 들지 않은 것은? …………(       )

① 聽思必聰          ② 貌思必恭

③ 視思必明          ④ 思得良饌


33. 다음 중 연결이 바르지 못한 것은?(        )

① 心 → 㣺           ② 刀 → 刂

③ 犬 → 犭           ④ 水 → 冫


※ 다음 한자의 두 가지 이상의 훈음을 쓰시오.

34. 惡 ①(             )      ②(            )

35. 切 ①(             )      ②(            )


※ 다음 낱말의 뜻을 쓰시오.

36. 觀賞   (                                 )

37. 當初   (                                 )

38. 未知數 (                                 )


※ 다음 뜻에 맞는 한자어를 쓰시오.

39. 열심히 바람, 또는 간절히 바람(            )

40. 제비를 뽑아 타게 하는 물품.  (            )

41. 문서나 문장의 초안.          (            )


※ 다음 문장의 뜻을 쓰시오.

42. 父母臥命, 俯首聽之

(                                                                    )

43. 晝耕夜讀, 螢雪成功

(                                                                    )


※ 다음 뜻에 맞는 성어를 한자로 쓰시오.

44. 정성이 지극하면 하늘도 감동함.

(                                            )

45. 계획이나 결정이 아침저녁으로 바뀜.

(                                            )

46. 옛 것을 익혀서 새것을 깨달음.

(                                            )


※ 다음 한자의 부수와 총획수를 쓰시오.

47. 類 : (              ㆍ                    )

48. 寫 : (              ㆍ                    )


※ 다음 물음에 알맞은 답을 쓰시오.

49. “味”자를 활용하여 만들 수 있는 어휘를 2개이상 한자로 쓰고, 그 낱말의 뜻을 쓰시오.








50. 부수가 “言”인 한자를 3개 이상 쓰고, 그 글자의 훈음을 쓰시오.

※ 수고하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