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갈시 蛇蝎視
[뱀 사/전갈 갈/볼 시]

☞뱀이나 전갈을 보듯 함. 악독한 것을 보고 끔찍히 싫어함
[참고]白眼視-업신여기거나 냉대하여 흘겨봄
靑眼視--애정을 가지고 대함 

[예문]
▷  깔끔하되,잔인할 정도로 깔끔한 여신 아르테미스.헤라가 신성한 결혼을 지켜주는 여신인 반면에 이 아르테미스는 결혼을 사갈시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출산을 방해하기까지 한다.달의 여신이기도 한 이 여신은 초승달이나 그믐달처럼 야멸차기 그지 없는 여신이기도 하다.<그리이스신화>

▷ 자기 앞가림은 충분히 하고도 남을 위인이라고 칭찬을 아끼지 않던 동네 사람들도 차츰 그를 사갈시하고 개중에는 개인적인 이해관계와 얽혀 철저히 증오하는 부락민도 나오기 시작했다.≪최일남, 거룩한 응달≫

▷ 역대 미 행정부가 ‘공공의 적’으로 사갈시했던 피델 카스트로 쿠바 국가평의회 의장은 “이를 계기로 국제사회에서 테러를 추방하는 노력이 있어야 한다”면서 인도적 지원을 제안했다.<2007.9 경향신문>  

▷ 입으로는 불행한 과거에 대해 사과한다고 하면서도 과거사 청산 작업을 사갈시(蛇蝎視)해서는 결코 그 사과의 진정성을 담보받을 수 없다.<2007 경향신문>

■ 사고무친 四顧無親
[넉 사/돌아볼 고/없을 무/겨레 친]

☞사방을 둘러 보아도 의지할 곳이 없다.
[유]孤立無援(고립무원) : 아무도 도와줄 이 없다.(=無援孤立) /進退維谷(진퇴유곡) : 나아갈 수도 물러설 수도 없는 난처한 지경에 빠지다.

[예문]
▷ 사고무친의 외로운 신세
▷ 고향이라곤 하지만 사고무친이긴 객지와 다를 바 없어 혼례를 치르러 처가에 갈 때 후행으로 따라가 줄 만한 먼 친척도 없다는 한탄과….≪박완서, 미망≫
사고무친한 타향에서 또 한 해를 보내니 외롭고 쓸쓸하기 이를 데 없다.
▷ 외가 쪽으로는 번족하지만 이북 출신인 아버지의 외아들인 나는 친가 쪽으로는 사고무친하였다.

▷ 이 내 설움 들어 봐라. 나는 일가친척 바이없고, 사고무친 이 내 몸이 이성지합, 우리 아내 얼골도 어여쁘고, 행실도 얌잔허고, 봉제사, 접빈객과, 치산 범절,가장 공경, 세상으 짝이 없어, 주야 사랑 애정헐 제, 뜻밖으 급한 난리. ‘위국땅 백성들아, 적벽으로 싸움가자.’ 천아성 부르는 소리, 족불이지 나를 끌어내니 아니 갈 수 없던구나. --<판소리 다섯마당>적벽가

▷ 예컨대 스페인과 프랑스 국경지대인 바스크 지방의 바스크어가 그런 족보 없는 언어다. 웬만하면 아무 족보에나 올려주고 싶어서 혈연 관계를 확인하려고 유전자 검사까지 해봐도 도무지 어느 핏줄인지 알 수가 없는 언어가 바로 바스크어다. 사고무친(四顧無親)의 언어이고, `외계에서 왔음직한' 언어인 셈이다. <인터넷 한겨레>

▷ 대원군은 영조의 현손(玄孫) 남연군 구(南延君 球)의 넷째아들로 서울에서 태어났으며, 조선 제26대왕 고종의 아버지이다. 세간에서는 대원위대감(大院位大監)이라 불렸다.12세에 어머니를 여의고 17세 때에는 아버지를 여읜 뒤 사고무친(四顧無親)의 낙박 왕손으로 불우한 청년기를 보내었다. 21세가 된 1841년(헌종 7) 흥선정(興宣正)이 되었고, 1843년에 흥선군(興宣君)에 봉해졌다.<인물탐구 홈> *玄孫 : 증손자의 손자≒高孫

■ 사군자 四君子
[넉 사/임금 군/아들 자]

묵화에서 자주 다루던 네 가지 소재, 즉 매화, 난초, 국화, 대나무(매란국죽)을 가리킨다.
[참고]
▷ 매화(梅花) : '아치고절'(雅致高節)(우아한 풍치와 고상한 절개), 혹은 빙자옥질

빙자옥질(氷姿玉質)이여 눈 속의 네로구나
가만이 향기(香氣) 노아 황혼월(黃昏月)을 기약(期約)하니,
아마도 아치고절(雅致高節)은 너 뿐인가 하노라.

빙자옥질(氷姿玉質)이여 눈 속의 네로구나
가만이 향기(香氣) 노아 황혼월(黃昏月)을 기약(期約)하니,
아마도 아치고절(雅致高節)은 너 뿐인가 하노라.

--- 고종 때 안민영 시조 '매화사' 중

▷ 난초(蘭草) : '외유내강(外柔內剛)'(겉은 부드럽고 안은 강한 성품)

빼어난 가는 잎새 굳은 듯 보드랍고
자줏빛 굵은 대공 하얀한 꽃이 벌고
이슬은 구슬이 되어 마디마디 달렸다.

본디 그 마음은 깨끗함을 즐겨하여
정(淨)한 모래틈에 뿌리를 서려 두고
미진(微塵)도 가까이 않고 우로(雨露) 받아 사느니라.  --- 이병기 시조 <난초> 연시조 중

▷ 국화(菊花) : '오상고절(傲霜孤節)'(서리에도 굴하지 않고 고고하게 피는 절개)

국화야, 너난 어이 삼월 춘풍 다 지내고
낙목한천(落木寒天)에 네 홀로 피었나니
아마도 오상고절(傲霜孤節)은 너뿐인가 하노라.--- 이정보 시조

▷ 대나무(竹) : '세한고절(歲寒孤節)'(추위 속에서도 오히려 고고한 절개를 지킴)

눈 마자 휘어진 대를 뉘라셔 굽다턴고
구블 절(節)이면 눈 속에 프를소냐?
아마도 세한고절(歲寒孤節)은 너뿐인가 하노라.--- 고려말 원천석 시조

 

■ 사궁 四窮
[넉 사/다할 궁]

☞네 가지 삶의 궁한 경지. 곧 鰥(홀아비), 寡(과부, 홀어미), 孤(고아), 獨(무자식 노인)
-->환과고독鰥寡孤獨

■ 사기종인 舍己從人
[버릴 사/몸 기/따를 종]

☞자기의 이전 행위를 버리고 타인의 선행을 본떠 행함.

[출전]『서경(書經)』 대우모(大禹謨)》,『맹자』공손추(公孫丑) 상 제8장『退溪集
[내용1] : 옛 대우(大禹= 禹라는 사람의 德)를 상고하건대 이르되 문명은 四海에 펴시고, 제(帝)께 공경하여 이으시다. 우(禹)가 순(舜) 임금에게 말하였다.

“임금의 위(位= 자리)에 서는 사람은 그 임금 됨을 어렵게 여기지 않으면 안 되며, 신하된 자는 그 신하 됨을 어렵게 생각지 않으면 안 되리라 생각하옵니다. 그렇게 되면 정사는 잘 다스려 지고 백성들은 덕을 숭상하기에 힘쓸 것입니다.”

曰若稽古大禹,曰:「文命敷於四海,祗承于帝。」
曰:「後克艱厥後,臣克艱厥臣,政乃乂,黎民敏德。」

그러자 순 임금이 말했다.

“그렇다. 진실로 그렇게 하면 좋은 말이 숨겨질 리가 없고, 어진이가 초야에 묻혀 지내지 않게 되어 온 나라가 다 평안하게 될 것이다. 여러 사람에게 의논하여 ‘나를 버리고 남을 좇으며(나의 의견을 주장하지 말고 남의 좋은 의견에 따르며)’, 의지할 곳 없는 이를 학대하지 않고 곤궁한 이들을 내버려 두지 않는 일들은 오직 임금 된 사람만이 할 일이라 할 수 있는 것이다.”

帝曰:「俞,允若茲,嘉言罔攸伏,野無遺賢,萬邦咸寧。稽于眾,舍己從人,不虐無告,不廢困窮,惟帝時克。」『서경(書經)』

[내용2]맹자께서 말씀하셨다. “子路는 사람들이 그에게 잘못이 있다고 일러주면 기뻐하였고, 禹임금은 善言(옳은 말)을 들으면 절을 하셨다. 위대한 舜임금께서는 더 훌륭하셨으니, 善을 남과 더불어 하셨다. ‘자기를 버리고 남을 따르시며’, 남에게서 취하여 善을 행하기를 즐기셨다.

 농사짓고, 질그릇을 굽고, 고기 잡는 이에서부터 帝가 되기까지 남에게서 취하지 않은 것이 없다. 남에게서 취하여 善을 行하는 것 - 이것이 남이 善을 行하도록 돕는 것이다. 그러므로 君子는 사람들이 善을 행하는 것을 도와주는 것보다 더 중대한 일은 없다.”

孟子曰 子路, 人告之以有過則喜. 禹聞善言則拜. 大舜有大焉, 善與人同. 舍己從人, 樂取於人以爲善. 自耕·稼·陶·漁以至爲帝, 無非取於人者. 取諸人以爲善, 是與人爲善者也. 故君子莫大乎與人爲善. 『맹자』

[내용3]작성자 몽촌「선생이 말씀하시되“능히 자신을 버리고서 남을 좇지 못하는 것은 배우는 자의 큰 병이라. 천하의 의리는 끝이 없으니 어찌 가히 자기만 옳고 다른 사람은 그르다고 하리요? 사람이 질문이 있으면, 곧 얕고 가까운 말이라도 반드시 마음에 두고서 조금 있다가 이를 대답하고, 일찍기 묻는 말에 바로 응하여 대답하지 말지니라.”

先生이 曰“不能舍己從人은 學者之大病이라 天下之義理無窮하니 豈可是己而非人이리오. 人有質問이어든 則淺近說이라도 必留意하여 少間而答之하고 未嘗應聲而對니라.『退溪集

**豈 어찌 기/是 옳을 시/非 그를 비/淺 얕을 천/留 남을 류/嘗 일찍이 상

 

 

사단 四端
[넉 사/실마리 단]

☞측은(惻隱), 수오(羞惡), 사양(辭讓), 시비(是非)의 네 마음.
맹자[출전] 孟子』, 公孫丑 上
[내용] 「사람은 누구나 남에게 차마 하지 못하는 마음이 있다. 선왕이 남에게 차마 하지 못하는 마음이 있어서 곧 남에게 차마 하지 못하는 정사를 하였다. 남에게 차마 하지 못하는 마음을 가지고 남에게 차마 하지 못하는 정치를 행하면 천하를 다스리기는 손바닥 위에 놓고 움직이는 것처럼 쉬울 것이다.

사람이 누구나 남에게 차마 하지 못하는 마음이 있다고 말하는 이유는, 지금 사람이 문득 어린아이가 장차 우물에 들어가려는 것을 보면 누구나 놀라고 측은한 마음이 있을 것이다.

 이는 어린아이의 부모와 교분을 맺기 위한 것이 아니며, 향당(鄕黨)과 친구들에게 칭찬을 받기 위한 것도 아니며, 그 비난하는 소리가 싫어서 그러는 것도 아니다. 이로 말미암아 본다면, 측은히 여기는 마음이 없으면 사람이 아니며, 부끄러워하고 미워하는 마음이 없으면 사람이 아니며, 사양하는 마음이 없으면 사람이 아니며,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 마음이 없으면 사람이 아니다.

 측은히 여기는 마음은 인의 발단이요, 부끄러워하고 미워하는 마음은 의의 발단이요, 사양하는 마음은 예의 발단이요,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 마음은 지의발단이다. 사람이 이 사단을 가지고 있는 것은 마치 사지가 있는 것과 같다. 이 사단을 가지고 있으면서 스스로 능하지 못하다고 말하는 것은 스스로 해치는자요, 그 임금이 능하지 못하다고 말하는 자는 그 임금을 해치는 자이다.

 무릇 나에게 있는 사단을 다 넓혀서 채울 줄 알면 마치 불이 처음 타오르고 샘물이 처음 솟아오르는 것과 같으니, 만일 확충한다면 사해(四海)를 보전할 수 있을 것이요, 만일 확충시키지 못한다면 부모도 섬길 수 없을 것이다.

[원문] 人皆有不忍人之心하니라. 先王이 有不忍人之心하사 斯有不忍人之政矣니라. 以不忍人之心으로 行不忍人之政이면 治天下는 可運於掌上이니라. 所以謂人皆有不忍人之心者는 今人이 斯見孺子將入於井하고 皆有??惻隱之心하나니 非所以內交於孺子之父母也며 非所以要譽於鄕黨朋友也며 非惡其聲而然也니라. 由是觀之컨데 無惻隱之心이면 非人也며 無羞惡之心이면 非人也며 無辭讓之心이면 非人也며 無是非之心이면 非人也니라. 惻隱之心은 人之端也요 羞惡之心은 義之端也요 辭讓之心은 禮之端也요 是非之心은 智之端也니라. 人之有是四端也는 猶其有四體也니 有是四端而自謂不能者는 自賊者也요 謂其君不能者는 賊其君者也니라. 凡有四端於我者를 知皆擴而充之矣면 若火之始然하며 泉之始達이니 苟能充之면 足以保四海요 苟不充之면 不足以事父母니라.  ** 乍(잠깐 사) 孺(어린애 유) ?(두려워할 출) ?(두려워할 척) 端(실마리 단) 擴(넓힐 확)

■ 사면초가 四面楚歌
[넉 사/쪽 면/나라 초/노래 가]

☞사방에서 초나라의 노래가 들리다. 적에게 포위당하여 고립되거나 이럴 수도 저럴 수도 없는 상태. 아무에게도 도움을 받지 못하는, 외롭고 곤란한 지경에 빠진 형편.

[출전]
『사기(史記)』〈항우본기(項羽本紀)〉

[내용]항우는 곧 초나라의 도읍인 팽성[彭城:서주(徐州)]을 향해 철군(撤軍)길에 올랐으나 서쪽의 한중[漢中:섬서성(陝西省)]으로 철수하려던 유방은 참모 장량(張良). 진평(陣平)의  진언에 따라 말머리를 돌려 항우를 추격했다.

 이윽고 해하[垓下 : 안휘성(安徽省)]에서  한신(韓信)이 지휘하는 한나라 대군에게 겹겹이 포위된 초나라 진영(陣營)은 군사가 격감한  데다가 군량마저 떨어져 사기가 말이 아니었다. 

 그런데 이게 웬일인가?
한밤중에 '사방에서 초나라 노래 소리[四面楚歌]'가 들려오는 것이  아닌가. 심신이 지칠대로 지친 초나라 군사들은 전의를 잃고 그리운 고향의 노랫소리에  눈물을 흘리며 다투어 도망을 쳤다. 항복한 초나라 군사들로 하여금 초나라 노래를 부르게  한 장량의 작전이 주효(主效)했던 것이다.

 항우는 깜짝 놀라서 외치듯 말했다.  " 아니, 한나라는 벌써 초나라를 다 차지했단 말인가? 어찌 저토록 초나라 사람들이 많은가?  " 이미 끝장이라고 생각한 항우는 결별의 주연(酒宴)을 베풀고는 사랑하는 우미인(虞美人)이  '사면초가(四面楚歌)'의 애절한 노래를 부르자, 비분강개한 심정을 다음과 같이 읊었다.  '힘은 산을 뽑고 의기는 세상을 덮건만/때는 불리하고 추( )도 나아가지 않누나.  /추가 가지 않으니 어찌하면 좋은가./우(虞)야 우야 그대를 어찌할 거나'


[원문]項王軍壁垓下 兵少食盡 漢軍及諸侯兵 圍之數重 夜聞漢軍四面皆楚歌 項王乃大驚曰 漢皆已得楚乎 是何楚人之多也 力拔山兮氣蓋世  時不利兮 不逝 不逝兮可奈何 虞兮虞兮奈若何

[예문]
▷ 전당대회 사흘을 앞둔 박후보의 처지는 사면초가에 가깝다. 대의 원 여론지지도는 금품살포 의혹 폭로전보다 더 떨어졌고 타 후보와 의 연대 가능성도 희박한 상황이다<디지틀조선>

에밀 졸라의 초상--36세가 된 마네가 28세의 에밀 졸라를 그린 초상화인데, 당시 사면초가(四面楚歌)가 되어 고민하는 마네를 백방으로 옹호해 준 졸라에의 보은과 우정의 표상으로 그린 작품이다.<명화감상>.

■ 사면춘풍 四面春風
[넉 사/쪽 면/봄 춘/바람 풍]

☞도처가 춘풍. 누구에게나 모나지 않게 처세하는 일. 또는 그런 사람.

[동]두루春風, 到處春風, 四時春風.
[예문]지방신문 문화부장 남지원과 사면춘풍 편집국장 곽영호. 이들은 신문사 경영자 장땡삐가 감행한 구두쇠 작전에 부응하여 부하 직원들을 잘라내는 아픔을 겪는다. 건강이 그다지 좋지 않은 이들은 등산으로 아픔을 달래고, 산 정상에 가서 소주 몇 병을 비운 뒤 '임금님 귀는 당나귀 귀'를 외친다.-한국문학 가을호 <임금님의 귀>

■ 사무사 思無邪
[생각 사/없을 무/사악할 사]

☞생각이 바르므로 사악함이 없음.
[출전] 『논어(論語)』
[내용]공자가 말하기를 시삼백편이 한마디로 말하면 생각에 사악함이 없다. 
[원문]子曰 詩三百이 一言而蔽之曰 思無邪라

[예문] 서 교수는 며칠 뒤 또다른 신문 칼럼에서 "김 교수의 논어강의는 이제 겨우 2편에 진입했는데, 나같은 문외한이 봐도 명백히 틀린 해석이 둘이나 있었다"며 "사무사(사무사)는 남녀간의 사랑을 예찬한 말이 아니라 "생각에 간사함이 없다"는 정통 해석이 맞는다"고 주장했다.<한국경제>

■ 사문난적 斯文亂賊
[이 사/글월 문/어지러울 란/도적 적]

사문을 어지럽히는 적, 이단적인 언사로 유교를 어지럽히거나  유학의 본류를 어그러뜨리는 글을 쓰는 사람을 일컫는 말

[출전]『논어(論語)』 자한(子罕)
[내용]'문왕이 이미 돌아가셨으니 문(文)이 이 몸에 있지 않겠는가? 하늘이 장차 사문을 없애려 하셨다면 뒤에 죽은 사람이 사문에 참여하지 못하였을 것이다.

 그러나 하늘이 사문을 없애려 하지 않으셨으니 광땅 사람들이 나를 어떻게 하겠는가?'  공자가 제자들과 함께 광땅을 지날 때 광땅 사람들이 공자를 무뢰한인 양호(陽虎)로  오인하고 포위하여 해치려 한 적이 있었는데, 공자는 위기를 당하여 이렇게 말씀하셨다. 

 공자는 문왕과 주공이 남긴 학문과 사상을 사문(斯文)이라 하고 자신은 천명으로 사문을  이어받았다고 자부한 것이다.

[원문]子畏於匡, 曰文王 旣沒 文不在玆乎, 天之將喪斯文也 後死者 不得與於斯文也 天之未喪斯文也 匡人 其如予何

■ 사분오열 四分五裂
[넉 사/나눌 분/다섯 오/찢어질 렬]

☞넷으로 나누어지고 다섯으로 갈라진다. 질서 없이 어지럽게 흩어지거나 헤어짐. 나라가 어지러워지는 것.

[예문]
▷ 함대는 사분오열이 되어 노량 해협으로 빙빙 돌면서 지탱할 수가 없었다. ≪박종화, 임진왜란≫
▷ 국론이 사분오열로 갈라지다.
▷ 자기들끼리 사분오열하여 싸우다.

▷ 당 지도부가 구체적인 로드맵을 마련하지 못하면서 여당내 정계개편 논의는 사분오열 하는 모양새다. 이러한 가운데 당내 친노세력들은 전당대회라는 형식을 통한 당 진로 논의에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2006 데일리서프라이즈>

■ 사불급설 駟不及舌
[네필 말 사/아니 불/미칠 급/말씀 설]

☞사람의 말이 네필의 말이 따라갈 수 없을 정도(難追)로 빠름. 말조심을 하라

[동]駟馬難追 사마난추 --입에서 나온 말은 四頭 마차[駟馬]도 따르기 어렵다(一言旣出 駟馬難追.)
[속담] 발 없는 말[言]이 천리 간다

[출전]『論語』 안연편

[내용]  자공(子貢)을 보고 극자성(棘子成)이 물었다.  "군자(君子)는 그 바탕만 있으면 되지 어찌해서 문(文)이 필요합니까?"  이 말을 듣고 자공은 이렇게 말했다. 

"안타깝다. 그대의 말은 군자답지만 사(駟)도 혀[舌]에 미치지 못한다. 문(文)이 질(質)과 같고 질이 문과 같다면, 호랑이와 표범의 가죽이나 개와 양의 가죽이 같다는 말인가?" 

[원문]惜乎夫子之說 君子也 駟不及舌 文猶質也 質猶文也 虎豹之 猶犬羊之. 

■ 사상누각 砂上樓閣
[모래 사/위 상/다락 루/집 각]

☞모래 위에 지은 누각. 기초가 견고하지 못해 오래가지 못하다
[동] :공중누각(空中樓閣)

[예문]
수백만 백성들의 열풍 같은 지지를 받는다 해도 뿌리가 없으면 사상누각이 되는 것입니다.≪유현종, 들불≫

싫든 좋든 우리는 디지털 경제라는 시대의 흐름을 거역할 수는 없다.그러나 굴뚝산업이 없는 인터넷 편중산업은 사상누각에 불과하다. <중부매일>

인터넷이 세계를 유혹하고 지배하는 일종의 카오스가 된다는 가설이 긴 설득력을 갖는 것도 무리는 아니다. 결국 인터넷 기반이 없는 세계화는 사상누각이 될 수밖에 없다.<2006 전자신문>

■ 사생취의 捨生取義
[버릴 사/살 생/취할 취/뜻 의]

삶을 버리고 의를 취하다, 정의를 위하여 자신의 목숨을 버림을 뜻함

[유]종용취의(從容取義)/사기위인(捨己爲人)/살신성인(殺身成仁)  [출전]孟子

[내용] '물고기는 내가 원하는 것이다.곰발바닥도 내가 원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두가지는 한꺼번에 얻을수는 없다면 물고기를 버리고 곰발바닥을 얻을 것이다. 목숨 또한 내가 바라는 바이고 의 또한 내가 바라는 바이다.두가지를 한꺼번에 얻을수 없다면 목숨을 버리고 의리를 취할 것이다.

 '
맹자는 구차하게 살기보다는 어떠한 어려움이 닥치더라도 의로움을 택하겠다고 하여 의를 향한 자신의 강한 의지를 밝혔다. 의로움을 쫓다보면 때로 목숨을 버릴 것을 각오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사생취의는 정의나 진리를 위해서는 자신의 목숨도 아끼지 말아야 한다는 말이다.
 
[해설]공자()가 말한 살신성인()과 같은 뜻으로, 목숨보다도 인()과 의()를 더 중시하여 정의()를 위해 목숨을 희생한다는 유교사상을 담고 있다.

[원문]孟子曰 魚我所欲也 熊掌 亦我所欲也 二者 不可得兼 舍魚而取熊掌者也 生亦我所欲也 義亦我所欲也 二者 不可得兼 舍生而取義者也

[예문]선열처럼 대의를 위해 목숨도 바치는 사생취의(捨生取義)까진 바라지 않는다. 하지만 이 치열한 글로벌 경쟁시대에 지도자들에게 요청되는 것은 자폐적 민족주의가 아니라 세계를 바라보는 열린 민족주의, 열린 애국심이다. <2006 세계일보>

■ 사석위호 射石爲虎
[쏠 사/돌 석/할 위/호랑이 호]

☞돌을 범인 줄 알고 쏘았더니 돌에 화살이 꽂혔다. 성심을 다하면 아니 될 일도 이룰 수 있다.
[유]愚公移山(우공이산)/면벽구년(面壁九年)/마부위침(磨斧爲針)/일념통암(日念通巖)/ 정신일도 하사불성(精神一到何事不成)[동]중석몰시(中石沒矢)/중석몰촉(中石沒鏃)

[출전]『史記』 이장군열전(李將軍列傳)
[내용] 이광은 조상으로부터 물려받은 궁술과 기마술에 남다른 재주가 있는 맹장이었다. 체격도 크지만 팔은 키에 비해 원숭이처럼 길었다. 무인답지 않게 그는 과묵하였고, 눌변이었다. 청렴하여 전공을 세워 포상으로 받은 것을 부하들에게 나누어 주기도 하였으며, 식사도 부하들과 똑같이 하여 부하들의 신망과 존경을 한몸에 받았다.

 또한 황제를 호위하여 사냥을 갔다가 혼자 큰 호랑이를 때려 잡아 용명을 세상에 떨치기도 하였다. 그는 가끔 사람들과 함께 누가 멀리 화살을 쏘는지 내기하여 지는 사람들에게 벌로 술을 먹이게 하였다.

 그런데 그가 활을 쏘는 방법은 약간 독특하였다. 아무리 적이 가까이 있을지라도 명중시킬 수 없겠다고 판단하면 애초부터 활을 쏘지 않았다. 그래서 때로는 이런 방법 때문에 부하들과 작전을 수행할 때 종종 곤욕을 치렀다.

하루는 이광이 명산(冥山)으로 사냥하러 갔다가 풀숲 속에 호랑이가 자고 있는 것을 보고 급히 화살을 쏘아 맞혔는데 호랑이는 꼼짝도 하지 않는 것이었다. 이상하게 생각되어 가까이 가 보니 그가 맞힌 것은 화살이 깊이 박혀 있는 호랑이처럼 생긴 돌이었다.

 다시 화살을 쏘았으나 이번에는 화살이 퉁겨져 나왔다. 정신을 집중하지 않은 것이었다. 중석몰촉은 무슨 일이든지 쏜 화살이 돌에 박힐 정도로 정신을 한 곳에 집중하여 일하면 이루어낼 수 있다는 뜻이다.

 이광은 특히 흉노와의 전투에서 혁혁한 공을 세웠지만, 선우(單于)와의 전투에서는 많은 부하를 잃고 적에게 사로잡혀 가까스로 탈출한 적도 있었다. 이것이 빌미가 되어 이광을 시기하던 무리들에 의해 참수형에 해당하는 죄인 취급을 받았지만 속죄금을 내고 평민으로 강등되었다.

그러던 어느 날 흉노가 다시 쳐들어와 요서군(遼西郡)의 태수(太守)를 살해하였다. 조정에서는 흉노에게는 이광이 가장 적당한 맞수라고 판단하여 그를 우북평군(右北平郡)의 태수에 명하여 흉노를 격퇴하라고 하였다.

 이때 흉노는 이광이 우북평군의 태수로 부임한다는 소식을 듣자 ‘한나라의 비장군(飛將軍)’이라 미리 겁을 먹고 몇 년 동안 우북평군을 침입하지 못하였다.

이밖에 《한시외전(韓詩外傳)》에도 이와 유사한 이야기가 전한다. 초(楚)나라의 웅거자(熊渠子)는 활로 호랑이를 쏘았는데, 화살깃까지 깊이 박힌 바위였다고 한다.<두산백과>

■ 사숙 私淑
[사사로울 사/사모할 숙]

☞직접 가르침을 받지 않았으나 마음 속으로 그 사람의 학문이나 인품을 본받아 배우며 인격을 수양해 나간다.

[출전]《맹자(孟子)》 <이루편(離婁篇)>

[내용]사(私)는 절(竊), 즉 '남몰래 마음속으로'라는 뜻이고, 숙(淑)은 선(善)을 말한다.맹자는 제나라의 남쪽 작은 나라인 노나라 부근에서 태어나서 공자의 손자인 자사의 제자가 되어 유학을 배웠다고도 하고, 자사의 문인에게서 배웠다는 두 설이 잇다.

 맹자는 공자를 그리워하며 이렇게 말했다. "군자가 끼친 덕은 다섯 세대로 끊어지고, 소인이 끼친 은덕도 다섯 세대에서 끊어진다. 나는 공자님의 제자가 되는 것은 얻지 못했지만 나는 이것을 사람들을 통하여 私淑(사숙)하였다." 한 세대를 30년이라고 치면 5세대는 150년이니, 군자나 소인이나 그 끼친 은덕은 150년 정도에서 끝난다고 한다.

[원문]"孟子曰 予未得爲 孔子徒也 予私淑諸人"

[참고]私事(사사):직접 가르침을 받음

[예문]
플라톤이 소크라테스를 얼마나 사숙하고 경도하고 앙모하였는지는, 플라톤이 신에게 드린 네 가지 감사 속에서 넉넉히 읽을 수가 있다.≪안병욱, 사색인의 향연≫

■ 사이비 似而非
[비슷할 사/말이을 이/아닐 비]

☞겉으로 보기에는 비슷한 것 같으나 실제로는 아주 다른 가짜.

[출전] 孟子 <盡心篇〉,論語〈陽貨篇〉
[내용] 만장(萬章)이 그의 스승 맹자(孟子)에게 물었다.“온 고을이 다 그를 향원(鄕原 : 점잖은 사람)이라고 하면 어디를 가나 향원일 터인데 공자께서 덕(德)의 도적이라고 하신 것은 무슨 까닭입니까?”맹자가 대답했다.“비난을 하려 해도 비난할 것이 없고 공격을 하려 해도 공격할 것이 없다.

 시대의 흐름에 함께 휩쓸리며 더러운 세상과 호흡을 같이 하여 그의 태도는 충실하고 신의가 있는 것 같으며 그의 행동은 청렴하고 결백한 것 같다. 모든 사람들도 그를 좋아하고 그 자신도 스스로 옳다고 생각하고 있다. 그러나 그와는 함께 참다운 성현의 길로 들어갈 수 없다. 그래서 덕의 도덕이라고 말하는 것이다.

 공자는 말씀 하셨다.‘나는 같고도 아닌 것(似而非)을 미워한다’라고.”즉, 그들은 꼬집어 비난할 구석이 없으며 얼핏 보기에는 청렴결백한 군자와 같으나, 실인즉 오직 세속에 빌붙어서 사람들을 감복케 하고, 칭찬을 받으며, 자신도 만족한 삶을 누리는 것뿐 결코 성인의 도를 행할 수 있는 인물이 아니라는 것이다.

 그래서 공자는 이들이야 말로‘덕의 적’이라 하고“세상의 사이비한 인간을 미워한다. 돌피는 잡초에 불과하나 벼포기와 비슷한 까닭으로 더욱 성가시다.

 수작이 능한 자를 미워함은 정의를 혼란케 만드는 때문이요, 鄭나라의 음악을 미워함은 그것이 아악과 비슷한 관계로 향원을 증오하는 까닭은 그들이 덕을 어지럽게 한다는 데 있다.”고 갈파했다.

[원문]萬章曰 一鄕 皆稱原人焉 無所往而不爲原人 孔子以爲德之賊 何哉 曰非之無擧也 刺之無刺也 同乎流俗 合乎 世 居之似忠信 行之似廉潔 衆皆悅之  自以爲是而不可與入堯舜之道 故曰德之賊也 孔子曰 惡似而非者 惡  恐其亂苗也 惡 恐其亂義也

[참고]사이비(似而非)와 유사한 뜻으로 사쿠라라는 표현을 쓰기도 하는데, 그것은 쇠고기와 관계가 있다. 일본 사람들이 쇠고기를 먹기 시작한 것은, 근대 일본의 개국 정책에 따라 요코하마나 고베, 등지에 외국인 거류지가 설치되고 포루투갈 사람들이 온 이래 그 영향을 받았다. 일단 고기맛을 들이자 쇠고기가 인기를 끌었다. 쇠고기의 붉은 육질과 부드러운 맛이 사람들의 미각을 자극했던 까닭이었다.

 그러자 말고기를 쇠고기라고 속여서 파는 일이 빈번히 발생하였다. 이른바 우두마육(牛頭馬肉)인 것이다. 그당시 일본에서는 말고기의 빛깔이 벚꽃처럼 붉다 하여 말고기를 사쿠라(벚꽃) 고기라 했는데, 속여 팔던 뻔뻔함이 그대로 보통 명사화 되었다. 사이비를 사쿠라라고 하는 유래가 여기에 있다.

[예문]
▷ 지식이 인격과 단절될 때 그 지식인은 사이비요 위선자가 되고 만다.≪법정, 무소유≫

▷ 아직도 제 혼자 배만 채우기 위해 공익을 해치는 가짜와 사이비가 많기 때문입니다.≪박영한, 인간의 새벽≫  

■ 사자후 獅子吼
[사자 사/울 후]

☞석가모니의 목소리를 사자의 우는 소리에 비유. / 사자의 울부짖음. / 크게 열변을 토하다. / 샘이 많은 여자가 남편에게 암팡스럽게 대드는 것.

사자가 소리쳐 울 때 작은 사자는 용기를 내고 기타 일체의 금수는 도망쳐 숨어버리는 것과 같이 석가모니의 설법을 들을 때 보살은 정진하고 도를 벗어난 악마들은 숨어버린다.


[출전]전등록(傳燈錄)』『유마경(維摩經)』『본초강목(本草綱目)
[내용]
진리나 정의를 당당히 설파하는 것 또는 크게 열변을 토하는 것을 비유한 말로서 《전등록》에 나온다. “부처는 태어나자마자 한 손은 하늘을 가리고, 한 손은 땅을 가리키며 일곱 발자국 걷고 사방을 돌아보면서 ‘천상천하 유아독존(天上天下 唯我獨尊:우주 속에 나보다 더 존귀한 것은 없다)’이라 하면서 사자후 같은 소리를 내었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또한 《유마경(維摩經)》에는 “석가모니 설법의 위엄은 마치 사자가 부르짖는 것과 같으며, 그 해설은 우뢰가 울려 퍼지는 것처럼 청중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다.”라고 되어 있다. 사자후는 석가의 설법을 비유한 말인데, 뭇 짐승들이 사자의 울부짖음 앞에서는 꼼짝도 못하듯이 석가의 설법 앞에서는 모두 고개를 조아릴 정도로 그 위력이 대단하다는 뜻인데, 현재에는 열변을 토해 내는 것을 비유할 때 사용된다.

 이밖에도 북송(北宋)의 시인 소동파(蘇東坡:1036~1101)가 친구 진계상(陳季常)과 그의 부인인 하동 유씨에 대한 시에서 보이듯이 질투심이 강한 여자가 남편에게 암팡지게 행동하거나 고함을 지르는 것도 사자후라고 하며, 시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용구거사는 역시 가련하다
    밤에 잠도 자지 않고 공(空)과 유(有)를 말하는데
    갑자기 하동의 사자후 소리를 들으니
    지팡이가 손에서 떨어지며 정신이 아찔해지는구나
    龍丘居士亦可憐 
    談空說有不眠 
    忽聞河東獅子吼 
    柱杖落手心茫然 

용구거사는 진계상을 말한다. 진계상은 독실한 불교신자로 날마다 친구들과 함께 공과 유에 대해 토론하였다. 이를 못마땅하게 여긴 부인이 체면 불구하고 남편에게 대드니 진계상이 정신을 잃어버린 것을 소동파가 표현한 것이다. 동의어는 하동사자후(河東獅子吼)이다.

본초강목(本草綱目)』에는 '사자가 서역의 여러 나라에서 나와,눈빛이 번개와 같고 목소리의 울부짖음이 우뢰와 같다. 한번 짖을 때마다 곧 모든 짐승들이  피하여 도망친다.

[원문]獅子出西域諸國 目光如雷 聲吼如雷 每一吼則百獸 易 <본초강목(本草綱目)>

[예문]
▷ 사자후를 토하다
▷ 그의 열성에 가득 찬 사자후에 관중은 뜨거운 박수를 보냈다.
▷ 그의 연설은 만인의 피를 들끓게 할 정도의 사자후였고….≪이문열, 황제를 위하여≫

■ 사족 蛇足
[뱀 사/발 족]

☞필요 없는 것을 붙이는 것. 또는 필요 없는 것./쓸데없는 둔더더기
[출전] 戰國策[원]畵蛇添足
[내용] :「楚나라에 제사를 맡은 사람이 그 하인들에게 큰 잔에 담긴 술을 주거늘, 하인들이 서로 말하되“여러 사람이 이를 마시면 만족하지 못하고 한 사람이 마시면 조금 과하니 청컨데 땅에다가 그려서 뱀을 만들되 먼저 이룬 사람이 술을 마시기로 하자.”하였다.

 한 사람이 뱀을 먼저 이루어 놓고 막 이를 마시려고 할 때, 왼손으로 술잔을 잡고 오른손으로는 땅에 그리며 말하기를“내가 능히 그렸으나 발이 아직 발이 아직 이루어지지 못하였도다.

 ”그 때 바로 한 사람이 뱀을 완성하고, 그 술잔을 빼앗아 말하되“뱀은 진실로 발이 없거늘 그대는 어찌 뱀의 발을 그릴 수 있겠는가?”하고 마침내 술을 마시니 뱀의 발을 만든 사람은 마침내 그 술을 마시지 못하였다.

[원문] 楚有祠者하여 賜其舍人?酒하니 舍人이 相謂曰“數人이 飮之면 不足이요 一人이 飮之면 有餘하니 請畵地爲蛇하여 先成者가 飮酒하리라”一人이 蛇先成하여 引酒且飮之할새 乃左手로 持?하고 右手로 畵地曰“吾能爲之나 足未成이로다.”一人之蛇가 成하야 奪其?曰“蛇固無足이라 子安能爲之足이리요”遂飮其酒하니 爲蛇足者는 終亡其酒러라.**引 당길 인/奪 빼앗을 탈/固 진실로 고/安 어찌 안/遂 드디어 수

[예문]
▷ 사족을 달다
▷ 사족을 붙이다
▷ 이런 것이 그녀의 자존심의 소산일까 생각해 보았으나, 그런 것도 쓸데없는 사족처럼 느껴져, 내 편에서도 아예 염두에 두지 않기로 하였다.≪이호철, 소시민≫

■ 사지 四知
[넉 사/알 지]

☞하늘과 신과 나와 그대가 안다, 세상에는 영원한 비밀이 없다.언젠가 들통나게 마련이다

[출전]「십팔사략(十八史略)」

[내용]옛날 중국에 양진(楊震)이란 관리가 있었다. 청렴결백의 사표라 할만큼 행동이 바르고 어질어 사람들은 그를 「관서(關書)의 공자」라 고 불렀다.

 그가 동래군 산동성의 태수로 부임했을때, 관내 부사 한 사람이 그를 은밀히 찾아왔 다. 부사는 황금 10근을 내 놓으면서 이권 하나를 청탁했다.

『아무도 모르는 일이오니 부디 이것만은 받아 주십시오』 그러나 그는 점잖게 나무라며 타일렀다. 『하늘이 알고, 신이 알고, 내가 알고, 그대가 알잖은가. 그런데 어떻게 임자는 아무도 모른다고 하는가』부사는 들고온 물건을 싸서 조용히 돌아갔다.

[원문]天知神知我知子知 何謂無知 

■ 사직 社稷
[땅신 사/곡식 신 직]

☞ 社 - 土神, 稷 - 곡식의 신, 옛날 군주가 되는 사람은 이 두 신에세 제를 올렸으므로 '사직'이라는 말이 '국가(國家)'라는 뜻으로 쓰이게 됨. 나라 또는 조정 , 종묘사직宗廟祠稷

[예문]
▷<유치환 -울릉도> 中
멀리 조국의 사직(社稷)의
어지러운 소식이 들려 올 적마다,
어린 마음 미칠 수 없음이
아아, 이렇게도 간절함이여! <유치환 -울릉도> 中

▷ 종묘와 사직이 위태롭다
▷ 태자의 몸으로 마의를 걸치고 스스로 험산에 들어온 것은 천 년 사직을 망쳐 버린 비통을 한 몸에 짊어지려는 고행이었으리라.≪정비석, 비석과 금강산의 대화≫ 

[참고]
사직단(社稷壇) :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있는 조선전기 종묘와 함께 토지신과 곡물신에게 제를 올리던 제단. 사적.

사직단의 위치는 『주례(周禮)』에 잘 규정되어 있는데, ‘오른쪽에 사직, 왼쪽에 종묘’라 하였다. 이 규정은 법궁을 중심으로 사직은 오른쪽에, 종묘는 왼쪽에 둔다는 뜻이며, 중국이나 우리나라 모두 준수하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종묘는 수도 한 곳에만 설치하는 데 반해 사직은 수도뿐만 아니라 지방 행정단위인 주현(州縣)마다 설치하였다. 주현의 사직도 관아의 서쪽, 곧 오른쪽에 세웠다.

사직단은 사단(社壇)과 직단(稷檀)을 따로 설치하였으며 사단은 동쪽에, 직단은 서쪽에 위치하였다. 각 단에는 다섯 가지 색깔의 흙을 덮었는데 동은 청색, 서는 백색, 남은 적색, 북은 흑색, 중앙은 황색 흙으로 하였다. 또한 각 단에는 신위를 모셨는데 사단에는 국사신(國社神)을 북향하여 모시고 후토신(后土神)을 동향하여 배향하였으며, 직단에는 국직신(國稷神)을 북향하여 모시고 후직신(后稷神)을 동향하여 배향하였다. 각 단에는 사방으로 계단을 설치하였으며, 단 둘레에는 유(壝)라고 하는 울타리를 치고 그 유에도 사방으로 문을 설치하였다. 이러한 형식은 후대에도 크게 변화가 없었다.

보통 도성의 서쪽에 사직단을 설치하였다. 우리나라에서는 한성부 의인달방(儀仁達坊)에 있는데 지금의 사직공원 자리이다.

그 규모는 단을 2개로 만들어 사단(社壇)은 동쪽에, 직단(稷壇)은 서쪽에 배치하여 사방이 각각 2장 5치로 북쪽에서 남으로 향하게 하였고, 높이는 3척인데 사방으로 계단 3층을 쌓았다. 단상에는 각각 2척 5치 정도의 석주(石柱)가 있다.

사단에는 국사(國社)의 신위를 남쪽에서 북을 향해 봉안하고 후토신(后土神)을 배향시켰으며, 직단에는 국직(國稷)의 신위를 봉안하고 후직(后稷)의 신을 배향시켰다. 1393년(태조 2) 풍수학인(風水學人)인 이양건(李陽建)과 배상충(裵尙衷)을 시켜 자리를 잡게 하고 이듬해 현재의 자리에 세웠다.

위판(位版)은 길이가 2척 2치 5푼, 너비가 4치 5푼, 두께가 7푼이며, 받침의 둘레는 사방이 8치, 높이는 4치 6푼이다. 모두 봉산(封山)의 밤나무로 만들었다. 1636년(인조 14) 병자호란 때 강화도로 옮겼다가 훼손되어서 다시 건립하였다.

부속 건물은 전사청(典祀廳)·집사청(執事廳)·부장직소(部長直所)가 있다. 1694년(숙종 20)에 중수하면서 전사청과 좌우 집사청을 세웠고, 1702년 부장직소를 후면에 건립하였는데, 위치가 출입하는 사람을 살피는 데 불편해 1742년(영조 18) 출입문 옆으로 옮겨 지었다.

제례는 문묘(文廟)와 종묘의 예에 따르고 2월과 8월 및 동지와 제석(除夕)에 행하였다. 그 밖에도 나라에 큰 일이 있을 때의 제례와 가뭄에 비를 비는 기우제(祈雨祭)와 풍년을 비는 기곡제(祈穀祭) 등을 여기에서 지냈다. 또한, 각 지방에도 관아의 서쪽에 사직단을 세우고 제사지내 국태민안과 풍년을 빌게 하였다.

조선시대 지방에 산재하였던 사직단은 대부분 사라졌다. 현재 지방에 남아 있는 사직단은 노변동사직단(대구광역시 기념물 제16호), 남원사직단(전라북도 기념물 제79호), 보은회인사직단(충청북도 기념물 제157호), 산청단성사직단(경상남도 기념물 제255호), 창녕사직단(경상남도 기념물 제278호) 등이며,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사직단 [社稷壇]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 사통오달 四通五達
[넉 사/통할 통/다섯 오/이를 달]

☞사방으로 왕래할 수 있는 편리한 곳.통하지 않는 곳이 없음
[동]사통팔달 四通八達

[예문]
사통오달한 큰길이 여기저기 뚫리고 공중에 거미줄을 친 전봇대가 병정처럼 늘어섰다.≪이기영, 신개지≫
▷ 사통오달의 광장
▷ 우리 마을은 네 집 내 집이 없이 사통오달로 툭 트여 있다
▷ 내 보기엔 그 방면 정보에는 사통오달로 빠싹한 것 같은데, 모른 척하는 것 같네요. <중앙일보 아라리난장中>

■ 사필귀정 事必歸正
[일 사/반드시 필/돌아갈 귀/바를 정]

☞일은 반드시 바른 곳으로 돌아간다. 모든 시비(是非) 곡직(曲直)은 결국 바른 길로 돌아 온다

[속담]죄는 지은 데로 가고 덕은 닦은 데로 간다. / 방귀가 잦으면 똥이 나온다.

[예문]
▷ 기다리면 조만간 필연코 사필귀정이 될 걸세.≪현기영, 변방에 우짖는 새≫
▷ 세상이 아무리 엉망이라 해도 하늘이 우리 머리 위에 있는 한 반드시 사필귀정해서 곧 나갈 수 있겠는데….≪장용학, 위사가 보이는 풍경≫
▷ 논평을 통해 “이번 선거는 선전했다고 본다”면서 “국민의 뜻이 ‘노무현 정권’에 대해 평가했다. 사필귀정이다”라고 평가했다. <2006 내일신문>

■ 사해형제 四海兄弟
[넉 사/바다 해/형 형/아우 제]

'사방이 형제'라고 풀이되며 천하사람들이 마음과 뜻을 같이 한다면 누구나 형제처럼 지낼 수 있다는 말

[출전]『논어(論語) 』안연(顔淵) [동]사해동포 四海同胞

[내용]사마우가 근심하며 말하기를 "사람이 다 형제가 있는데 유독 나만 없소이다" 그러자 자하가 말하기를 "내가 듣기에 죽고 사는 것이 운명에 달려있고 부유함과 귀함이 하늘에 달려 있다  했소이다.

 군자가 조심하여 실수하는 일이 없고 남과 접촉하는데 공손하고 예의가 있으면 온 세상사람들이 모두 형제입니다. 군자가 어찌 형제가 없는 것을 걱정하겠습니까?"' 

 사마우에게는 사마환퇴(司馬桓退)라는 형이 있었는데 천하에 악명을 드날리는 악한으로   송나라에서 일어났던 반란에 가담하였다가 실패하여 망명하여 떠도는 신세였다.   사마우는 이를 걱정하여 자하에게 근심을 털어놓았던 것이다.

 자하는 모든 일은 운명에 달려있다고 하고 군자가 공경으로서 남을 대하고 예를 지킨다면  천하의 누구와도 형제처럼 지낼 수 있으니 어찌 형제가 없음을 걱정하겠느냐고 위로한 것이다
.
[원문]司馬牛憂曰 人皆有兄弟 我獨亡 子夏曰 商聞之矣 死生有命 富貴在天 君子敬而無失 與人恭而有禮 四海之內 皆兄弟也 君子何患乎無兄弟也

■ 사후약방문 死後藥方文
[죽을 사/뒤 후/약 약/모,길 방/글월 문]

☞죽은 뒤에 약방문. 시기를 잃어 낭패를 보는 경우. *藥方文 : 약을 짓기 위하여 약 이름과 약의 분량을 적은 종이(처방전)

[동]망양보뢰 (亡羊補牢)-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 死後淸心丸 사후청심환 / 상여뒤에 약방문 / 실마치구(失馬治廐:말 잃고 마구간 고친다) / 실우치구(失牛治廐: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
[출전]『순오지』

[속담]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 / 늦은 밥 먹고 파장(罷場) 간다 / 단솥에 물 붓기


[예문]
▷ 국회 보건복지위원들과 한나라당 이회창 총재,이한동 국무총리 서리,민주당 서영훈 대표 등도 서울대병원과 여의도성모병원,경찰병원 등을 찾아 의사들과 환자들을 위로했다. 그러나 의사들은 정치인들의 사후약방문에 대해 싸늘한 반응이었다. <국민일보>.

▷ 우리나라에선 식품 관련 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다. 사고가 터진 뒤에야 사후약방문(死後藥方文)격으로 관계법령을 고치고 처벌기준을 강화하는 것 등이 고작이었다. <2006 중앙일보>

▷ 정 장관은 또 최근 자신이 제기한 `선제적 금리인하` 주장에 대해 "앞으로 우리경제에서 실물경제가 활성화되기 어렵다고 본다면 금리라든지 재정집행이라든지 정부규제 등 경기에 대응할 수 있는 정책들을 사후 약방문으로 해서는 안된다는 의미"라고 말했다.<2006 이데일리>

 

■ 산고수장 山高水長
[뫼 산/높을 고/물 수/길 장]

☞산은 높이 솟고 강은 길게 흐른다. 군자의 덕이 높고 끝없다.

[유]태산북두(泰山北斗)--존경을 받는 사람[출전]『文章軌範』

[예문]
▷진안고원은 전라북도 진안군에 위치하며 군 지역의 대부분이 지형학상의 고원지대로 이루어져 있어 주위 다른 지역과의 고저가 확연히 드러난다.


북한의 개마고원에 비추어 볼 때 실로 산과 물의 분수령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금강과 섬진강의 발원을 이루는 산고수장(山高水長)한 고장이다.주위의 장수군, 무주군과 더불어 소백산맥 서사면의 청정 고랭지역으로 흔히 '무진장'이라고 일컬어진다.

▷ 동소서금(東小西錦)이라 !동으로는 소백산맥을 두르고 서쪽으로는 금강이 유유히 굽이치는 곳, 남덕유와 장안, 팔공산, 논개님...장수는 정녕 산고수장(山高水長)의 충절고을이다.

■ 산자수명 山紫水明
[뫼 산/자주빛 자/물 수/맑을 명]

☞산색이 아름답고 물이 맑음. 햇빛을 받아서 산은 보랏빛으로 물들고 물은 맑아서 또렷하게 보임. 곧 산수의 경치가 눈부시도록 아름다움.
[유] 산명수려(山明水麗).[출전]『賴山陽』

[예문]
▷ 계곡의 언덕위에는 병자호란때 순절한 대양 김몽화장군의 갑옷과 투구를 묻었다는 장군대와 옛 선현들이 고기를 낚으면서 이곳의 산자수명함을 노래했다는 조어대와 가사연이 조화롭게 어우러져 있습니다.

▷ 조국은 나에게는 언제까지나 여전히 산자수명의 금수강산이었으니….≪유진오, 구름 위의 만상≫
▷ 산자수명한 금수강산
▷ 산자수명한 자연경관
▷ 우리 고장처럼 산자수명하고 볼 만한 고적이 많은 명승지는 없다고….≪박완서, 미망≫십여년전 이런 글을 쓴 적이 있다.

▷ “먹물 옷을 입은 우리 스님들은 산자수명(山紫水明)을 누리는 '산수부르조아'는 아닌가”라고.머물던 사찰의 풍광이 너무나 아름다워 일어난 망상이었는데,각고정진하는 도반들에겐 미안한 일이 되었었다.<중앙일보 --문화는 살아있다>

■ 산전수전 山戰水戰
[싸울 전]

☞산에서의 전투와 물에서의 전투를 다 겪음. 험한 세상의 일에 경험이 많음.
[동]百戰老將(백전노장)/ 萬古風霜(만고풍상)--갖은 고생

[출전]손자(孫子)』의 〈모공편(謀攻篇)〉과 유기(劉基:1311~57)가 저술한 『백전기략(百戰奇略)』:역대의 병법서를 참고하여 100가지 전쟁을 수록한 책에 나오는 말이다.

[내용]산전은 산에서 싸우는 것이고, 수전은 물에서 싸우는 것으로, 육지에서 싸우는 것보다 강력한 체력과 고도의 전술이 필요하며 피해와 희생 또한 만만치 않은 만큼 훨씬 어렵다. 따라서 강도 높은 훈련을 받지 않거나 경험이 많지 않은 평범한 병사를 이끌고 산전수전을 치르면 실패하기 쉽다.

 산전수전을 겪었다는 것은 군사적인 면으로는 백전노장 또는 역전의 용사를 말한다. 일반적인 의미로는 모진 풍파를 다 겪어 정신적 및 육체적으로 강인한 사람을 뜻하며, 어지간한 시련에는 조금도 동요하지 않는 사람을 말한다.

[예문]
▷ 형사 생활 십오 년, 곽 형사는 이 방면에서 산전수전 다 겪은 몸이었다.≪유재용, 성역≫

▷ 태인댁은 산전수전 두루 겪은 시골 주막의 술어미답게 사건의 전말을 직감적으로 알아차릴 수가 있었다.≪윤흥길, 완장≫.

▷ 만일 그 자리가 그 자리가 아니고 계동 자기네 댁만 같았어도 이놈 당장 잡아 내리라고 호령을 한바탕 했을 겝니다. 그러나 산전수전 다아 겪고 칼날 밑에서와 총뿌리 앞에서 목숨을 내걸어 보기 수 없던 윤직원 영감입니다.[채만식(蔡萬植), 太平天下]

■ 살신성인 殺身成仁
[죽일 살/몸 신/이룰 성/어질 인]

☞자기 몸을 희생하여 인(仁)을 이룸
공자[유]捨生取義(사생취의) : 삶을 버리고 의로움을 취하다. /命緣義輕(명연의경) : 목숨을 의에 연연하여 가볍게 여기다. 의로움을 위해서는 생명도 아끼 지 않는다.

[출전]논어』, 衛靈公篇
[내용]공자(孔子)가 말씀하시기를“뜻있는 선비와 어진 사람은 삶을 구하여 인을 해치는 일이 없고 몸을 죽여서 인을 이룬다”」라고 하였다.

 지사(志士)란 도의(道義)에 뜻을 둔 사람을 일컫고 인인(仁人)이란 어진 덕을 갖춘 사람을 말한다. 그러므로 지사(志士)와 인인(仁人)은 삶이 소중하다고 하여 그것 때문에 지(志)나 인(仁)을 잃는 일은 절대로 없다. 오히려 때로는 자기의 목숨을 버리면서까지 인(仁)을 달성하려 한다.

[원문]子曰 志士仁人은 無求生以害仁하고 有殺身以成仁이니라.

[참고]儒家(유가)의 중심사상이 仁이며 孔子가 가장 중시했던 德目(덕목) 또한 바로 그 仁이었음은 누구나 안다. 하지만 仁을 한 마디로 규정하기는 매우 어렵다.

 孔子는 忠과 恕라고 해석했다. 쉽게 말해 타인에 대한 慈悲(자비)나 人間愛(인간애), 同情心(동정심)이라고 해도 무방할 것이다. 그래서 仁은 君子가 먼저 익혀야할 德目이기도 했다.

“군자가 仁을 버리고 어찌 이름을 이룰 수 있으랴?”(君子去仁, 惡乎成名?)

곧 仁은 몸소 행동으로 實踐(실천)해야 한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공자의 가르침 자체가 實踐道德이 아니었던가.

물론 仁이 최고의 덕목인 만큼 仁 자체에는 大小의 구별이 있을 수 없으며 그것을 行하는데 있어 輕重(경중)과 貴賤(귀천)의 구별 또한 있을 수 없음은 자명하다. 심지어 여기에는 生死의 구별조차 무의미한 것이 된다.

물론 사람은 누구나 살기를 원하지 죽기를 원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道義心이 강하고 의지가 깊은 사람(志士)이나, 仁德을 갖춘 사람(仁人)이라면 목숨과 仁이 兩立할 수 없을 때 生命을 아끼느라 仁을 해치지 않는다.

그것보다는 오히려 一身을 희생(殺身)하면서까지 仁을 實踐하지 않을까(成仁)? 그래서 공자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志士와 仁人은 살기 위해 仁을 해치는 일이 없고 오히려 몸을 죽여 仁을 행할 뿐이다.”(志士仁人, 無求生以害仁, 有殺身以成仁.)

孟子 역시 비슷한 말을 했다.

“생선도 내가 원하는 것이고 곰 발바닥도 원하는 것이지만 둘을 함께 추구할 수 없다면 생선보다는 곰 발바닥을 취할 것이다. 마찬가지로 生도원하는 것이고 義도 원하는 것인데 둘 다 취할 수 없다면 生을 버리고 義를 취해야 하지 않을까.”

유명한 ‘捨生取義’(사생취의)다. 仁義가 같은 덕목일진대 공자나 맹자는 仁義를 목숨보다도 더 중시했음을 알 수 있다. 곧 殺身成仁이라면 正義를 위해 자신의 목숨을 草芥(초개)같이 버리는 것을 뜻한다.

 비늘만한 자비에도 인색한 게 요즘 세태다. 남을 위해 자신의 목숨을 버린다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가? 그러나 이 사회에는 그래도 그런 분들이 적지 않아 어둠과 각박한 세상에 한 줄기 희망의 등불이 되고 있다.

근래 연이어 殺身成仁의 소식이다. 일본에 유학갔던 한 한국인 학생에 이어 소방관 여섯분의 순직이 그것이다. 말이 쉽지 참으로 어려운 것이다. 그만큼 숭고하다 하겠다.    鄭錫元(한양대 안산캠퍼스 교수·중국문화) 

[예문]
▷ 난국 타개를 위하여 살신성인하는 자세로 모든 일에 임해야 한다.
▷ 선 감독은 이번 한국시리즈에서 전천후 투수로 출격해 팀을 위해 살신성인한 배영수를 아시아시리즈까지 등판시키기는 어려운 상황이다.<2006 스프츠서울>

▷ 현재 조도중학교는 전체학생수가 37명밖에 되지 않아 지역민들조차 대안을 마련치 못하고 전전긍긍하고 있는 실정임을 감안할 때 자신과 자녀의 불편을 감수하면서 도서지역으로 자녀를 전학시킨 이씨의 실천은 살신성인의 덕목을 새삼 떠오르게 한다.<2006 연합뉴스>

■ 삼강오륜 三綱五倫
[석삼/벼리 강/다섯 오/인륜 륜]

☞유교(儒敎)의 도덕사상에서 기본이 되는 3가지의 강령(綱領)과 5가지의 인륜(人倫). 삼강(三綱)은 유교 도덕이 되는 세가지 뼈대가 되는 줄거리, 오륜(五倫)은 유교에서 이르는 다섯 가지의 인륜(人倫). =오상(五常). 오전(五典).

[해설]임금과 신하(君爲臣綱), 남편과 아내(夫爲婦綱), 부모와 아들(父爲子綱)이 지켜야 할 떳떳한 도리. 오륜(五倫)은 유교 실천 도덕에 있어서 기본이 되는 다섯가지의 인륜(君臣有義, 父子有親, 夫婦有別, 長幼有序, 朋友有信)을 말한다.

삼강(三綱)은 유교 도덕이 되는 세가지 뼈대가 되는  줄거리로서, 임금과 신하(군위신강 君爲臣綱), 남편과아내(부위부강 夫爲婦綱), 부모와 아들 (부위자강 父爲子綱)이 지켜야 할 떳떳한 도리. 

오륜(五倫)은 유교 실천 도덕에 있어서 기본이 되는 다섯가지의 인륜, 즉 군신유의 君臣有義, 부자유친 父子有親, 부부유별 夫婦有別, 장유유서 長幼有序, 붕우유신 朋友有信을 말한다. 

이는 《맹자(孟子)》에 나오는 5가지로, 임금과 신하의 도리는 의리에 있으며, 아버지와 아들 사이의 도(道)는 친애(親愛)에 있고, 부부 사이에는 서로 침범치 못할 인륜(人倫)의 구별이 있으며, 어른과 어린이 사이에는 차례와 질서가 있어야 하며, 벗의 도리는 믿음에 있음을 뜻한다.

삼강오륜은 원래 중국 전한(前漢) 때의 거유(巨儒) 동중서(董仲舒)가 공맹(孔孟)의 교리에 입각하여 삼강오상설(三綱五常說)을 논한 데서 유래되어 중국뿐만 아니라 한국에서도 과거 오랫동안 사회의 기본적 윤리로 존중되어 왔으며, 지금도 일상생활에 깊이 뿌리박혀 있는 윤리 도덕이다.

[예문]
▷ 유교 사회에서는 삼강오륜이 사회 규범화되어 있었다.
▷ 철모르는 자에게 삼강오륜 : [북한어]철도 나지 않은 어린 사람에게 삼강오륜을 요구하여 무엇 하겠느냐는 뜻으로,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은 사람에게 힘들여 어떤 일을 해 보았자 보람이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삼고초려 三顧草廬
[석 삼/돌아볼 고/풀 초/농막 려]

☞웃사람이 아랫사람을 여러 번 찾는 것.인재를 맞아들이기 위해 예를 다함.
=초려삼고 [草廬三顧]
[유]토포악발(吐哺握髮):손님에 대한 극진한 대우. 군주가 어진 인재를 예의를 갖추어 맞이함 / 편안함이 없이 몹시 바쁜 모양

[출전]삼국지(三國志)》<촉지 제갈량전(蜀志 諸葛亮傳)〉

[내용]후한(後漢) 말기 관우(關羽:?~219)와 장비(張飛:166?~221)와 의형제를 맺고 무너져 가는 한(漢)나라의 부흥을 위해 애를 쓴 유비는 능력을 발휘할 기회를 잡지 못하고 허송 세월만 보낸 채 탄식하였다.

 유비는 유표(劉彪)에게 몸을 맡기는 신세로 전락하였다. 관우와 장비와 같은 강한 군사력이 있으면서도 조조(曹操)에게 여러 차례 당하였다.

 유비는 그 이유를 유효 적절한 전술을 발휘할 지혜로운 참모가 없었기 때문이라는 것을 깨닫고 유능한 참모를 물색하기 시작하였다.

어느 날 유비가 은사(隱士)인 사마휘(司馬徽)를 찾아가 유능한 책사를 천거해 달라고 부탁하자 사마휘는 “복룡(伏龍:초야에 묻혀 있는 재사)과 봉추(鳳雛) 가운데 한 사람만 선택하시지요”라고 말하였다.

 유비는 복룡이 제갈 량임을 알고 그를 맞으러 장비와 관우와 함께 예물을 싣고 양양(襄陽)에 있는 그의 초가집으로 갔는데, 세 번째 갔을 때 비로소 만날 수 있었다. 이때 제갈 량은 27세, 유비는 47세였다.

삼고지례는 유비가 제갈 량을 얻기 위해 그의 누추한 초가집을 세 번씩이나 찾아간 데서 유래하는데, 유능한 인재를 얻기 위해서는 인내심을 발휘하고 최선을 다해야 한다는 뜻이 들어 있다. 또한 인재를 알아 볼 줄 아는 안목도 또한 갖추어야 한다.

 유비는 제갈 량을 얻은 이후 자신과 제갈 량의 사이를 수어지교(水魚之交:물고기가 물을 만난 사이)라고 말하였다. 제갈 량은 원래 미천한 신분으로 이곳에서 손수 농사를 지으면서 숨어 지냈다. 그는 스스로를 관중(管仲)과 악의(樂毅)에 비유하였지만 최주평(崔州平)과 서서(徐庶)를 제외하고는 아무도 알아 주지 않았다. 그는 뜻을 펼칠 때를 기다린 것이었다.

제갈 량은 이후 《출사표(出師表)》에서 자기를 찾은 유비의 지극한 정성에 대해 감격하면서 이렇게 말하였다. “신이 비천한 신분임을 알면서도 싫어하지 않고 외람되게도 몸을 낮추어 제 초가집을 세 번씩이나 찾아 주어 당시의 상황을 물으셨습니다.

 이 일로 저는 감격하여 선제께서 있는 곳으로 달려가는 것을 허락한 것입니다.” 줄여서 삼고라고 하며, 삼고초려(三顧焦廬) 또는 초려삼고(焦廬三顧)라고도 한다. 비슷한 말로 삼고지우(三顧知遇)가 있다. [두산백과]

[참고] :「臣이 본래 벼슬이 없는 천한 몸으로 몸소 남양 땅에 묻히어 밭이나 갈면서 살고자 하여, 진실로 생명을 어지러운 세상에서 잘 보전하고 벼슬을 임금들에게 구하지 않고 지내려 하였더니, 선제께서 신을 벼슬이 없는 천한 사람으로 여기지 않고, 외람스럽게도 몸을 굽히어 세 번이나 초가집의 가운데에서 나를 찾아 주시고 신에게 당세의 여러 가지 일을 물음이라.

 이로 말미암아 마음에 크게 느껴 드디어 선제의 밑에서 일할 것을 허락을 하더니, 뒤에 나라가 기울 제를 만나서, 책임을 패하여 가는 군인의 즈음에서 받고, 명령을 어려운 사이에서 받음이 지금까지 二十一 년이 되니라.

[臣本布衣로 躬耕南陽하여 苟全性命於亂世하고 不求聞達於諸侯러니 先帝不以臣卑鄙하시고 猥自枉屈하사 三顧臣於草廬之中하여 咨臣以當世之事라 由是感激하여 遂許先帝以驅馳러니 後値傾覆하여 受任於敗軍之際하고 奉命於危難之間이 爾來二十一年의라.『출사표(出師表)』]

** 躬(몸소 궁) 鄙(더러울 비) 猥(외람될 외) 枉(굽힐 왕) 咨(물을 자) 激(분발할 격) 値(만날 치)

[예문]
▷ 그렇다면 너는 나라의 신임받는 신하로군, 내가 와룡 선생(臥龍先生)같은 이를 천거하겠으니, 네가 임금께 아뢰어서 삼고초려(三顧草廬)를 하게 할 수 있겠느냐?" 이 대 장은 고개를 숙이고 한참 생각하더니, 어렵습니다. 제이(第二)의 계책을 듣고자 하옵니다." 했다(허생전)

▷ 서울 힐튼호텔을 세계적 수준으로 설계해 달라는 김우중 당시 대우 회장의 삼고초려도있었지만 건축·건설 입국의 발판을 다지고 있던 조국에‘보답’할 때가 왔다는 소명의식이 결국 태평양을 건너게 했다.<2006 서울경제--올해의 건축문화인상>

[참고] 삼고초려(三顧草廬)가 임금의 청을 받아 들인 것이라면 취직(就職)은 거절의 뜻을 표명한 말이다. 취직(就職)이란 말은 중국 진(晉)나라의 이밀(李密)이란 사람이 황제의 부름을 받았으나, 그는 자신의 가문이 출중치 못하다는 겸양(謙讓)을 발휘해 부름을 끝내 사양했다. 그는 자신의 명문집「문선(文選)」에서 이런 뜻을‘具以表聞辭不就職’이라는 글귀로 남겼다.

■ 삼년불비불명 三年不飛不鳴
[석 삼/해 년/아니 불/날 비/아니 불/ 울 명]

☞3년 동안 날지도 않고 울지도 않음. 웅비(雄飛)할 기회를 기다림

[동]불비불명(不飛不鳴), 복룡봉추(伏龍鳳雛:엎드려 있는 용과 봉황의 새), 와룡봉추(臥龍鳳雛:누워 있는 용과 봉황의 병아리),용구봉추(龍駒鳳雛:뛰어난 말과 봉황의 병아리)
[유]자복(雌伏).[원] 삼년불비우불명 三年不飛又不鳴

[출전]『呂氏春秋 』 審應覽 / 『史記 』 滑稽列傳
[내용]  춘추시대 초엽, 오패의 한 사람으로 꼽혔던 초(楚)나라 장왕(莊王:B.C. 613∼ 591)이 즉위한 지 얼마 안 되었을 때 있었던 일이다. 어느 날 장왕은 신하들을 모아 놓고 이렇게 선언했다.  "앞으로, 과인을 간하는 자는 사형(死刑)에 처할 것이오. "  그 후 장왕은 3년간에 걸쳐 국정은 돌보지 않은 채 주색(酒色)으로 나날을 보냈다.

 이를 보다 못한 충신 오거(五擧)는 죽음을 각오하고 간언(諫言)할 결심을 했다. 그러나 차마 직간(直諫)할 수가 없어 수수께끼로써 우회적으로 간하기로 했다. 

"전하, 신이 수수께끼를 하나 내볼까 하나이다. "  "어서 내보내시오."  "언덕 위에 큰 새가 한 마리 있사온데, 이 새는 '3년 동안 날지도 않고 울지도 않사옵니다[三年不飛又不鳴].' 대체 이 새는 무슨 새이겠나이까?" 

장왕은 서슴없이 대답했다.  "3년이나 날지 않았지만 한번 날면 하늘에 오를 것이오. 또 3년이나 울지 않았지만 한번 울면 세상 사람들을 놀라게 할 것이오. 이제 그대의 뜻을 알았으니 그만 물러가시오."  그로부터 몇 달이 지났으나 장왕의 난행(亂行)은 조금도 달라지지 않았다. 그래서 이번에는 대부 소종(蘇從)이 죽음을 각오하고 이전에 나아가 직간했다. 그러자 장왕은 꾸짖듯이 말했다. 

"경(卿)은 포고문도 못 보았소? "  "예, 보았나이다. 하오나 신은 전하께서오서 국정에 전념해 주신다면 죽어도 여한이 없겠나이다."  "알았소. 물러가시오. " 

장왕은 그날부터 주색을 멀리하고 국정에 전념했다.  3년 동안 장왕이 주색을 가까이했던 것은 충신과 간신을 선별하기 위한 사전 공작이었다.  장왕은 국정에 임하자마자 간신을 비롯한 부정 부패 관리 등 수백 명에 이르는 반윤리적 공직자를 주살(誅殺)하고 수백 명의 충신을 등용했다. 그리고 오거와 소종에게 정치를 맡겨 어지러웠던 나라가 바로잡히자 백성들은 장왕의 멋진 재기를 크게 기뻐했다. 

■ 삼라만상 森羅萬象
[빽빽할 삼/벌일 라/일만 만/본 뜰 상]

빽빽하게 벌여있는 온갖 존재, 우주의 온갖 사물과 현상을 뜻함
[출전] 법구경(法句經) [동]만휘군상 [萬彙群象]
[내용]'삼라와 만상은 하나의 법으로 새겨진 것이다' 삼라(森羅)는 울창한 나무들이 빽빽하게 늘어서 있듯이 우주에 펼쳐진 온갖 사물이고, 만상(萬象)은 우주에서 일어나는 온갖 현상이나 형체이다.  따라서 삼라만상이라고 함은 우주에 존재하고 있는 온갖 사물과 현상, 형체를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삼라만상이 하나의 법으로 새겨진 것이라는 말은 우주의 수억 수만의 존재와 현상들은  각각이 다르게 존재하지만, 그것이 생성되고 존재하고 멸하는 이법은 하나이며 그 하나의 이법에  의해 모든 것이 이루어진다는 말이다

[원문]森羅及萬象 一法之所印

[예문]
▷그녀의 눈에 비친 온 세상의 삼라만상이 꿈속에서처럼 아름답기만 했다.≪문순태, 타오르는 강≫  

▷ 세 소녀가 우주에서 가장 강력한 힘을 얻는 마법을 거는 과정에서 삼라만상을 관장하는 정령 주트의 봉인이 풀리면서 닥쳐오는 혼란과 위기를 극복하는 과정을 그리고 있다.<2006 연합뉴스>

▷ 불가에서 말하는 제석천의 궁전은 수많은 구슬로 장식돼 있다. 각각의 구슬에는 우주의 삼라만상이 휘황찬란하게 투영된다<2006 경향신문 칼럼>

■ 삼령오신 三令五申
[석 삼/명령할 령/다섯 오/펼 신]

☞세 번 명령하고 다섯 번을 거듭 말함, 같은 것을 몇 번이고 되풀이해서 명령하고 계고(戒告)함. 

[출전] 『史記 』〈손자오기열전(孫子吳起列傳)〉
[내용]춘추전국시대 오(吳)나라의 제24대 왕 합려(闔廬:BC 515~496 BC)는 손무(孫武)의 《손자병법(孫子兵法)》을 읽고 나서 아낌없는 찬사를 보냈다.

 그래서 합려는 손무에게 한 번 시범을 보여 달라고 요청하였다. 손자는 궁녀 180명을 모아 놓고 두 편으로 나누었으며, 궁녀들 가운데 합려가 가장 총애하는 두 명을 각각 대장에 임명하였다. 손무는 자신이 세 번 시범을 보인 다음 다시 다섯 번 설명하였다. 설명이 끝나자 명령하면 그대로 따라 하라고 하였으나 궁녀들은 웃기만 하고 움직이지 않았다.

처음에는 자신의 명령이 철저하지 않았으므로 이는 전적으로 지휘관인 자신의 책임이라고 하였다. 궁녀들로부터 자신의 명령에 복종하기로 다짐을 받았지만 두 번째 명령에도 따르지 않았다. 그러자 손무는 대장 두 명을 참수하려고 하였다.

 왕이 극구 만류하였지만 손무는 "실전에서는 왕의 명령이라도 거역할 수 있습니다."라고 하면서 참수하였다. 그때서야 비로소 궁녀들은 손자의 명령에 일사불란하게 훈련에 임하였다<두산백과>

■ 삼마태수 三馬太守
[석 삼/말 마/클 태/지킬 수]

☞청백리를 가리킴 
[내용]한고을의 수령이 부임지로 나갈때나 또는 임기가 끝날때 감사의 표시로 보통 그 고을에서 가장 좋은 말 여덟마리를 바치는 것이 관례로 되어 있었다. 

 그런데 조선 중종때 송흠(宋欽)이라는 분은 새로 부임해 갈 때 세 마리의 말만 받았으니, 한 필은 본인이 탈 말, 어머니와 아내가 탈 말이 각각 한필 그래서 총3필을 받아 그 당시 사람들이 송흠을 삼마태수라 불렀으니 청백리를 가리킨다. 
 
 참고로 고려 충렬왕 때는 임기가 끝나는 부사에게 7필의 말을 바치는 법이 있었는데 최석이라는 승평(지금의 순천)부사는 그 7마리의 말을 받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애초 받치려던 말이 망아지를 낳아 8마리의 말을 승평고을 백성들에게 돌려주었다. 

 이에 부민들이 최석의 뜻을 기려 비를 세웠는데 바로 팔마비(八馬碑)다. 지금도 순천을 팔마의 고장이라고 하여 청백리의 고장으로 자부심이 대단하다. 

  조선조에 와서는 세종때 맹사성은 공무를 수행할때도 말을 따고 다니지 않고 소를 타고 다니는 청백리로 유명하다 

■ 삼매경 三昧境
[석 삼/잠잘 매/지경 경]

☞오직 한가지 일에만 마음을 집중시키는 경지.≒삼마제·삼마지·삼매경

[출전]『대승의장(大乘義章) 』 지론(智論)
[내용]삼매경이란 불교에서 오랜 수행을 통해 얻은 경지,오직 한가지 일에만 마음을 집중시키는 경지로서 범어인 Samadhi를  음차한 것인데, 한자로는 정(定) 또는 정(正)이라는 뜻에 어울리는 말이다.

 수(隨)나라 혜원(慧遠)이 대승불교와 소승불교의 용어를 풀이해 놓은 대승의장  (大乘義章)에는 "삼매는
고요함을 체득하여 사악하고 어지러운 데서 멀어진다"고 풀이했다.   즉 한가지 일에 정신을 집중시켜 흔들리지 않음을 말한다.
 
지혜에 관한 글인 지론에는 삼매경을 다음과 같이 말했다.  '모든 선정과 섭심을 삼매라고 한다. 진(秦)은 말하기를 '바른 마음으로 행동하는 것이다.  

 마음은 시작이 없는 것에서 나와 항상 굽어 있고 바르지 않은데, 삼매를 얻은 뒤에야   마음이 바르게 된다. 비유하자면 뱀은 항상 구불구불 다니는데 대통에 들어가서야 비로소   곧아지는 것과 같으니, 능히 마음으로 하여금 한 경지에 머물게 할 수 있다

[원문]三昧以體寂靜 離於邪亂 一切禪定攝心 皆名三昧 秦云  正心行處 是心從無始來 常曲不直 得此三昧 心則端直 如蛇行常曲 入竹筒則直 能令心住一境

[예문]
▷ 목타는 農心 아는지 모르는지…높으신 분들 ‘골프 삼매경’
▷ 서울의 한 노인복지센터, 일흔을 넘긴 할머니들이 에어로빅 삼매경에 빠져 있고 할아버지들은 탁구를 즐깁니다

■ 삼복백규 三復白圭
[석 삼/되풀이할 복/흴 백/옥 규,홀 규]

☞백규를 세 번 반복함. 말이 신중함.   * 홀(笏: 제후를 봉할 때 사용하던 옥으로 만든 신인(信印)

[출전]『논어(論語) 』 선진(先秦) 편
[내용] 남용이 백규란 내용의 시를 하루에 세 번 반복하여 외우니 공자께서 그 형님의 딸을 그에게 아내로 삼게 했다. 
남용은 춘추시대 공자의 제자이며, 그가 외운 시는 시경(詩經) '대아(大雅) 억(抑)'에 나오는 다음 구절이다. 

    흰 구슬의 흠집은 그래도 갈면 되지만 
    말의 흠은 어떻게 할 수도 없다네

이 시는 본래 위(衛)나라 무공(武公)이 여왕(廬王)을 풍자하고 또한 스스로를 경계하기 위해 지은 것이다. 남용은 이 구절을 하루에 세번씩 반복하여 외웠으므로 말에 신중하려고 노력했음을 알 수 있다. 그래서 공자는 조카딸을 그의 아내로 준 것이다. 세상의 모든 화근이 세 치 혀끝에서 비롯된다는 말이 있다. 

■ 삼불행 三不幸
[석 삼/아니 불/요행 행]

☞맹자가 말한 불행의 세 가지. 축재에 전념하고, 자기 처자만 사랑하고, 부모에게 불효하는 것
[참고]
삼불혹 三不惑 (미혹할 혹)
빠지지 말아야 할 세가지. 술·여자·재물

삼불효 三不孝 세가지 불효.부모를 불의(不義)에 빠지게 하고, 가난 속에 버려두며, 자식이 없어 제사가 끊어지게 하는 일.

삼불후 三不朽 (썩을 후)세가지 썩어 없어지지 않는 것.세운 德, 이룬 功, 교훈이 될 훌륭한 말.

■ 삼생유행 三生有幸
[석 삼/날 생/있을 유/행복할 행]

☞세 번 태어나는 행운이 있다는 뜻으로, 서로 간에 남다른 인연이 있음을 비유한 말

[내용]불경에 나오는 말이다. 옛날 중국에 불교에 대해 학식이 뛰어나고 수행을 많이 한 승려 원택()과 그의 친구 이원선()이 있었다.

 두 사람이 같이 여행 길을 떠났을 때 일어난 일이다. 원택이 만삭이 다된 어느 부인을 보고 "저 부인은 임신한 지 3년이나 지났는데 지금까지 내가 환생하여 자기의 아들이 되기를 바라고 있지. 지금까지 이를 피해 왔는데 오늘은 도저히 피할 수가 없네.

 3일 이후에 그녀는 아들을 낳을 터인데 그가 바로 나네. 그리고 13년 후 중추절 밤에 항저우()에 있는 천축사()에서 다시 만나세."라고 말하였다. 이원선은 친구의 말을 듣고 그냥 웃기만 하였다. 정확히 3일 후 이원선은 친구 원택이 입적하였다는 소식을 듣고 전에 원택이 한 말을 상기하여 그 부인의 집에 가 보니 막 태어난 아들이 자신을 보고 웃는 것이었다.

 이후 13년이 지나서 이원선은 천축사에 갔다. 막 절 문 안으로 들어가려고 하자 소를 탄 어린아이가 자신에게 "삼생의 인연으로 맺어진 영혼인데 정든 사람이 멀리서 찾아왔네."라고 시 한 수를 읊었다. 삼생유행은 아주 특별하고 끊어지지 않는 인연을 비유하는 말이며, 때로는 다른 사람으로부터 도움을 받았을 때 이 말로 고마움을 표시한다. 불교에서 삼생은 태어나기 이전의 세상인 전생(), 지금 살고 있는 세상인 금생(), 죽은 이후의 세상인 후생()을 말한다.<두산백과>

■ 삼성오신 三省吾身
[석 삼/살필 성/다섯 오/몸 신]

☞날마다 세 번씩 자신을 반성함.
[출전] 논어[동]日日三省

[내용]曾子가 말씀하시기를 “나는 날마다 세 번 내 몸을 살피니, 사람을 위하여 일을 도모함에 추성스럽게 아니 하였는가? 벗과 더불어 사귀되 믿음을 잃지는 않았던가? 스승에게 배운 것을 익히지 아니 하였는가?”이니라.

[해설]첫째, 남을 도와 주면서 정말로 양심의 가책을 느끼지 않을 만큼 성실하게 도와 주었는가 하는 점이다. 깊은 곳에서 우러나오는 마음이 아니고서는 건성에 불과할 뿐이니 진정한 도움이라고는 할 수 없다.

둘째, 친구와 交際(교제)를 하면서 혹 信義(신의)없는 행동을 하지 않았는가 하는 점이다. 자신의 이익만을 위해 거짓말을 한다면 결국 信義를해치는 것이 되며 나아가 자신의 害惡(해악)으로 돌아오기 마련이다. 거짓말을 밥먹듯 하는 요즘 깊이 새길 만하다 하겠다. 여기서 ‘친구’는 굳이 ‘벗’의 개념을 넘어 타인과의 인간관계를 의미하기도 한다.

셋째, 스승에게 배운 바를 잘 익혔던가 하는 점이다. 스승의 가르침을 받으면서도 게을리 하면 결국 그 道(도)는 자신의 것이 될 수 없고 또한 잘못된 지식을 다시 제자에게 전하는 이중의 罪惡(죄악)을 범하게 되는 것이 되기 때문이다. 그의 말은 眞實(진실), 信義(신의), 努力(노력)을 강조한 것이다<문화가 흐르는 한자>

[원문]曾子曰“吾日三省吾身하노니 爲人謀而不忠乎아 與朋友交而不信乎아 傳不習乎아”니라.
**爲 위할 위/謀 꾀할 모/與 더불 여/傳 전할 전/習 익힐 습

■ 삼순구식 三旬九食
[석삼/열흘 순/아홉 구/먹을 식]

☞한 달에 아홉 끼니밖에 먹지 못한다. 집이 몹시 가난한 것.

[동]上漏下濕(상루하습) : 위에서는 비가 새고 아래에서는 습기가 차오른다는 뜻으로 가난한 집을 비유하는 말. / 이순구식(二旬九食)

[출전]
도연명(陶淵明) '의고시(擬古詩)'
[내용]

    동방에 한 선비가 있으니 옷차림이 항상 남루하였고
    한달에 아홉끼가 고작이요
    십년이 지나도록 관직하나로 지내더라
    고생이 이에 비할 데 없건만 언제나 좋은 얼굴로 있더라 
    내 그 분을 보고자 하여 이른 아침에 하관(河關)을 넘어 갔더니
    푸른 소나무는 길옆에 울창하고 흰 구름은 처마 끝에 잠들더라
    내 일부러 온 뜻을 알고 거문고 줄을 골라 연주하니
    높은 음은 별학조 놀란 듯한 가락이고,
    낮은 소리는 고란이 아닌가
    이제부터 그대 곁에서 늙을 때까지 살고 싶네

* 別鶴操:남편과 이별한 아내의 슬픈 노래 *孤鸞:배우자가 없음을 슬퍼하는 노래

[원문]東方有一士,被服常不完;三旬九遇食,十年著一冠.  辛勤無此比,常有好容顔.我欲觀其人,晨去越河關.靑松夾路生,白雲宿 端.知我故來意,  取琴爲我彈.上絃驚別鶴,下絃操孤鸞.願留就君住,從令至歲寒.

[예문]
▷ “가난이야, 가난이야, 원수년의 가난이야. 잘살고 못살기는 묘 쓰기으 매였는가? 북두칠성님이 집자리으 떨어칠 적에 명과 수복을 점지허는거나? 어떤 사람 팔자 좋아 고대광실 높은 집에 호가사로 잘사는듸, 이년의 신세는 어찌허여 밤낮으로 벌었어도 삼순구식을 헐수가 없고, 가장은 부황이 나고, 자식들은 아사지경이 되니, 이것이 모두다 웬일이냐? 차라리 내가 죽을라네.” 이렇닷이 울음을 우니 자식들도 모두 따라서 우는구나. <판소리 다섯마당>흥보가

▷ 저는 차라리 삼순구식을 할지라도 마음이 편할 수 있다면 그것이 이 세상의 가장 큰 즐거움으로서….≪이기영, 신개지≫  

▷ 글쎄요. 뭣합니다만 화초방 설레군에 육전(肉錢)털린 주눅에 삼순구식도 못한 각설이패 몰골이 완연합니다. 그렇다면 동무와는 같은 상단이시우?≪김주영, 객주≫

▷ “식구가 이러하니 아무런들 할 수 있소. 빌어도 많이 먹으니 다시는 빌 데 없고, 굶은 지 원 오래니 더 굶으면 죽겠으니, 예, 형님 전(前)에 왔사오니 전곡간에 조금 주면, 스물 일곱 죽는 목숨 여상(呂尙)의 일단사(一簞食)요 학철(涸轍)의 일두수(一頭水)니 적선을 하옵소서.” 두 손을 비비면서 꿇엎디어 섧게 우니, 놀보가 생각한즉……. 

■ 삼십육계 三十六計
[석 삼/열 십/여섯 육/꾀할 계]

☞곤란할 때에는 도망가는 것이 가장 좋다. 위험이 닥쳐 몸을 피해야 할 때에는 싸우거나 다른 계책을 세우기보다 우선 피하는 것이 상책이라는 말 / 물주가 맞힌 사람에게 살돈의 서른여섯 배를 주는 노름. 서른여섯 가지의 꾀. 많은 모계(謀計) [원]三十六計走爲上計

[출전]『자치통감(資治通鑑) 』檀公三十六策 走爲上策 計汝父子唯有走耳
[내용]남북조 시대, 제(齊:南齊, 479∼502)나라 5대 황제인 명제(明帝) 소도성(蕭道成)의 종질(從姪:사촌 형제의 아들)로서 고제의 증손(曾孫)인 3대 4대 황제를 차례로 시해하고  제위를 찬탈(簒奪)한 황제이다.

 그는 즉위 후에도 고제의 직손(直孫)들은 물론 자기를  반대하는 사람은 가차없이 잡아 죽였다.  이처럼 피의 숙청이 계속되자 고조 이후의 옛 신하들은 불안을 느끼지 않을 수 없었다.  그 중에서도 개국 공신인 회계(會稽) 태수 왕경측(王敬則)의 불안은 날로 심해졌다.  

 불안하기는 명제도 마찬가지였다. 그래서 대부 장괴(張壞)를 평동(平東)장군에 임명하여  회계와 인접한 오군(五郡:강소성 내)으로 파견했다.

 그러자 왕경측은 1만여 군사를 이끌고 도읍 건강(建康:南京)을 향해 진군하여 불과 10여 일 만에 건강과 가까운 흥성성(興盛城)을 점령했다. 도주에 농민들이 가세함에 따라 병력도 10여 만으로 늘어났다.  한편 병석의 명제를 대신하여 국정을 돌보던 태자 소보권(蕭寶卷)은 패전 보고서를 받자  피난 준비를 서둘렀다.

 이 소식을 전해들은 왕경측은 껄껄 웃으며 이렇게 말했다.  "단장군(檀將軍)의 '서른 여섯 가지 계책 중 도망가는 것이 제일 좋은 계책[三十六計走爲上計]'  이었다고 하더라. 이제 너희 부자(父子)에게 남은 건 도망가는 길밖에 없느니라."  이 말은 '단장군이 위(魏:北魏)나라 군사와 싸울 때 도망친 것을 비방한 것이다'라고 주석을   붙인 책도 있다. 

[속담]삼십육계에 줄행랑이 제일 (으뜸)--많은 계책중에서 도망해야 할 때에는 기회를 타서 도망하여 보신하는 것이 병법상 가장 상책이라는 말이니 뜻이 바뀌어 곤란할 때에는 도망하여 화를 피하는 것이 가장 좋다는 뜻,주행(走行)의 음이 변하여 줄행랑이 됨.

'단공이 말한 36가지의 책략 중에 (상대방이 너무 강해서 대적하기 힘들 때에는 )달아나는 것이 가장 나은 계책이다'라는 말이 줄어서 '삼십육계(三十六計)'가 되었다.

 비겁하게 달아난다는 뜻을 담아서 많이 쓰고 있으나 원래는 힘이 약할 때는 일단 피했다가 힘을 기른 다음에 다시 싸우는 것이 옳다는 것을 강조한 말이다. 무조건 도망가는 것이 아니라 이기기 위한 병법의 하나로서 뒷날을 기약하며 일단 후퇴전술을 쓸 수도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참고]삼십육계(三十六計)는 중국에서 옛날부터 전해지는 병서의 정수를 모은 책이다. 이 책은 경서나 사서와 같이 정통으로 취급받지 못했기 때문에 정식으로 출판된 적은 없다.  또한 삼십육계의 저자와 저작시기는 명확하지 않다.  

 주림(朱琳)이 지은 홍문지(洪門志)에는 청대 초에 "홍문회"(아마도 홍화회가 아닐까 여겨진다)에서 "삼십육계"를 편찬한 일이 있다고 하지만 이는 그들의 반청복명에 필요한 한가지 방법에 지나지 않는다.  

 즉 삼십육계의 내용이 풍부한 처세철학을 내포하고 있어서 많은  사람들이 즐겨 읽어서 목판으로  간행되거나 필사되긴 했지만 당시 지식인들이  서가에 놓아 드러내는 것은  꺼려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삼십육계의 일부 계명이 고대의  서적에도 보이기 때문에 그  기원은  훨씬 더 올라갈 수 있다. 예를 들면 "손자병법(孫子兵法)"에 이일대로(以逸待勞), "전국책(戰國策)"에 원교근공(遠交近攻), "두보시(杜甫詩)"에 금적금왕(擒賊擒王), "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에 고육계(苦肉計), 미인계(美人計) 등이 나오는 것으로 보아 어느  한 사람이 지은 것으로  볼 수 없고 어느  한시대에 이루어진 것도 아님을 알 수 있다.  

 삼십육계는 모두 여섯개의  범주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승전계(勝戰界), 적전계(敵戰計), 공전계(攻戰計), 혼전계(混戰計),  병전계(幷戰計), 패전계(敗戰計)가 그것이다.

◑[승전계(勝戰計)] : 아군의 형세가 충분히 승리할 수  있는 조건을 갖추고 있을 때 증기를 타고 적을 압도하는 작전을 말한다.

제1계 만천과해(瞞天過海) : 하늘을 가리고 바다를 건넌다.

제2계 위위구조(圍魏救趙) : 위나라를 포위하여 조나라를 구하다.

제3계 차도살인(借刀殺人) : 남의 칼로 사람을 해치다.

제4계 이일대로(以逸待勞) : 쉬다가 피로에 지친 적과 싸운다.

제5계 진화타겁(袗火打劫) : 상대의 위기를 틈타 공격한다.

제6계 성동격서(聲東擊西) : 동쪽에서 소리지르고 서쪽으로 공격한다.

 

◑[적전계(敵戰計)] :아군과 적군의 세력이 비슷할 때  기묘한 계략으로 적군을 미혹시켜 승리를 이끄는 작전이다.

제7계 무중생유(無中生有) : 지혜로운 자는 무에서 유를 창조한다.

제8계 암도진창(暗渡陳倉) : 기습과 정면공격을 함께 구사한다.

제9계 견안관화(隔岸觀火) : 적의 위기는 강 건너 불 보듯 한다.

제10계 소리장도(笑裏藏刀) : 웃음 속에 칼이 있다.

제11계 이대도강(李代桃畺) : 오얏나무가 복숭아을 대신해 죽다.

제12계 순수견양(順手牽羊) :기회를 틈타 양을 슬쩍 끌고 간다.

 

◑[공전계(攻戰計)] : 자신을 알고 적을 안 다음  계책을 모의하여 적을 공격하는 전략이다.

제13계 타초경사(打草驚蛇) : 풀을 헤쳐 뱀을 놀라게 한다.

제14계 차시환혼(借尸還魂) : 죽은 영혼이 다른 시체를 빌려 부활하다.

제15계 조호리산(調虎離山) : 호랑이를 산 속에서 유인해 낸다.

제16계 욕금고종(欲擒故縱) : 큰 것을 얻기 위해 작은 것을 풀어 준다.  

제17계 포전인옥(抛引玉) : 돌을 던져서 구슬을 얻는다.

제18계 금적금왕(擒賊擒王) : 적을 잡으려면 우두머리부터 잡는다.

  

◑[혼전계(混戰計)] : 적이 혼란한 와중을 틈타 승기를 잡는 전략이다.

제19계 부저추신(釜低抽薪) : 가마솥 밑에서 장작을 꺼낸다.

제20계 혼수모어(混水摸魚) : 물을 흐려 놓고 고기를 잡는다.

제21계 금선탈각(金蟬脫殼) : 매미가 허물을 벗듯 위기를 모면하다.

제22계 관문착적(關門捉賊) : 문을 잠그고 도적을 잡는다.

제23계 원교근공(遠交近攻) : 먼 나라와 사귀고 이웃나라를 공격한다.

제24계 가도벌괵(假途伐) : 기회를 빌미로 세력을 확장시킨다.

 

◑[병전계(幷戰計)] : 상황의 추이에 따라 언제든지 적이 될 수 있는 우군을 배반, 이용하는 적략이다.

제25계 투량환주(偸梁換柱) : 대들보를 훔치고 기둥을 빼낸다.

제26계 지상매괴(指桑罵槐) : 뽕나무를 가리키며 홰나무를 욕한다.

제27계 가치부전(假痴不癲) : 어리석은 척 하되 미친 척 하지 마라.

제28계 상옥추제(上屋抽梯) : 지붕으로 유인한 뒤 사다리를 치운다.

제29계 수상개화(樹上開花) : 나무에 꽃을 피게 한다.

제30계 반객위주(反客爲主) : 손님이 도리어 주인 노릇하다.

  

◑[패전계(敗戰計)] : 상황이 가장  불리한경우 열세를  우세로 바꾸어 패배를 승리로 이끄는 전략이다.

제31계 미인계(美人計) : 미녀를 이용하여 적을 대한다.

제32계 공성계(空城計) : 빈 성으로 유인해 미궁에 빠뜨린다.

제33계 반간계(反間計) : 적의 첩자를 역이용한다.

제34계 고육계(苦肉計) : 자신의 희생해 적을 안심시킨다.

제35계 연환계(連環計) : 여러 가지 계책을 연결시킨다.

제36계 주위상(走爲上) : 때로는 전략상 후퇴도 필요하다.


[예문]
▷ 참말로 삼십육계의 상책을 생각했소?≪홍명희, 임꺽정≫
▷ 제재를 당하기 전에 제국으로 삼십육계 중의 상책을 쓰는 것이 현명한 일이 아니오?≪한용운, 흑풍≫
▷ 호랑이를 본 아낙은 제 보따리도 버리고 삼십육계 줄행랑을 놓았다.
▷ 도둑들은 혼비백산이 되어 삼십육계 줄행랑을 불러 서로들 짓밟으며 달아난다.≪박종화, 임진왜란≫
▷ 나쁜 짓을 하던 학생은 선생님을 보자 삼십육계를 놓았다.